그리핀 에어홀 누수는 고질병이 맞다고 하는군요;;
본문
먼저 나름의 해결책을 적다보니 글이 깁니다.
레딧쪽을 뒤져보니 외국에도 그러한 사례가 많다고 합니다.
특히 사용하면 할수록 점점 더 그러한 증상이 심해지고
그에 따라 에어홀 조절링 부분의 유격이 심각해져서 심지어 어떤 양형은 거의 1mm의 유격이 발생한다고 말을 하는군요.
이게 베이스가 프레스 압입 타입이라 어지간한 힘으로 분리도 안되고
그렇다고 위에서 단순히 누르는 힘으로 들어가지도 않습니다.
제것도 1mm까진 아니어도 꽤나 덜그럭 거리던지라(절제님이 보내주셨던 그리핀 25 플러스와 비교해도 심할정도)
플리커 사진(https://www.flickr.com/photos/132467052@N05/25224767769)
보고 분해한다고 낑낑거리다 다른 방법으로 얼추 그리핀 25 플러스와 비슷한 상태까지는 만들었습니다.
저 사진을 보면 별도의 나사산 없이 프레스 압입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준비물
1. 고무망치(혹은 둥그런 고무 재질의 손잡이가 달린 어느정도 무게감이 있는 드라이버.)
2. 1구 짜리 무화기 거치대(가급적 금속. 다이소 버전의 말랑이 거치대를 사용하는것 보다는 딱딱한게 낫습니다.)
3. 얇은 굵기의 실 혹은 칸탈, 니켈 와이어(32~36게이지 사이면 될 듯 합니다.)
완화책 1
먼저 무화기의 센터핀을 뺀 후(덱까지 분해되는게 아니라 덱쪽은 별도이며 나사산이 매우 얇은 센터핀만 뽑혀 나옵니다.)
무화기를 드립팁을 제외한 상태로 완전 조립을 합니다.
그후 "반드시" 무화기의 하단을 왼손으로 잘 잡은 상태로 고무망치 혹은 고무 손잡이 형태의 드라이버등으로 탑캡쪽을 때려줍니다.
이때 경통 파손의 우려가 있으니 반드시 장갑을 끼우고 해야 하며 탑 에어플로우 버전 같은 경우는 타격점이 잘못되면
탑 에어플로우 링이 돌아가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꽤나 여러번(망치 무게와 힘에 따라 다르지만 전 약 20여회 때렸습니다.)때려줍니다.
이때 탑캡의 전체 부분을 고르게 때려주셔야 하며
이 작업이 완료될 경우 탑캡의 상부쪽 경통 오링의 바깥 부분이 압력으로 잘려나갈 수 있습니다.
누수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저는 압력으로 인해 마치 실처럼 탑캡 상부쪽 오링 외측이 잘려나갔으나 오히려 딱 맞게 떨어지게 된 듯 합니다.
완화책 2
완화책 1번으로 맘에 들게 작업이 되지 않은 경우 실행합니다.
상부를 때려줬으니 뒤집어서 잡아준 후 하부를 때려줘야 합니다.
가급적 무화기 바닥면을 커버할 수 있게 사진과 같은 무화기 1구 거치대(금속재질)등을 올려 놓은 후 때려주셔야 합니다.
거치대 없이 직접 때릴 경우 잘못하면 510 나사산쪽이 뭉그러질 수 있습니다.
이때도 경통의 파손을 주의해야 하며 최대한 가운데 부분과 바깥쪽을 두루 때려주시는게 좋습니다.
이 작업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바닥을 휘게 하는 목적이 아니라 압입부를 최대한 재정렬 하는 작업이니
얼마만큼 때린다가 없습니다.
최대한 열심히, 강하고 짧게가 아닌 가볍게 오랜시간 쳐주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경통은 소중하니까요.

사진이 싼티 나는건 양해 부탁드립니다..새로 찍을 리뷰에 쓸 사진이었는데..안하고 있어요..-_-;;
사진에서도 AFC링의 유격이 보이네요..허허 작업 전에 찍은 사진입니다.
저 빨간색 거치대와 같은 물건 혹은 그에 상응하는(나무쪼가리 같은)것을끼우고 때리시면 됩니다.
1번 과정에서 센터핀을 뺀 이유는 센터핀을 빼보시면 아시겠지만
실제 나사산은 상당히 얇기때문에 충격으로 인해 휘거나(압입부의 내려앉음등으로)
심각할 경우 안에서 깨져버릴 수 있기에 빼는게 좋습니다.
센터핀이 안에서 깨지면 베이스 완전 분해 혹은 신의 손가락으로 센터핀 분해를 하지 않는 한
무화기의 사망 선고가 됩니다.
만일 집에 거치대가 없다면 약간 두꺼운 나무젓가락이나 비슷한 물건을 510 나사산 근처에 11자로 위치시킨 후
고무줄 2개로 위쪽, 아래쪽을 묶어서 센터핀쪽 부담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젓가락 위치를 변경해가며 고루 때려줍니다.
완화책 3
저는 여기까지 했을때도 에어홀이 약간의 유격은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그리핀 25 플러스(거의 사용하지 않은)상태와 비슷해졌습니다.
이는 아마도 제조사가 원활한 에어홀 동작을 위해 만들어놓은 공차 같습니다만
레딧쪽에서도 이 공차 마저도 젠장이다(ㅋ)라는 반응입니다.
내부에 실링 작업 조차 제대로 안되어있기 때문이죠.
어느 정도 처음 상태보다 유격이 나아졌다, 혹은 그대로이다 라고 생각하시는 경우에는
에어홀의 하단쪽에 실 혹은 얇은 칸탈이나 니켈(32게이지~혹은 그 이상) 또는 만능 테프론 테이프로 틈새에 쑤셔 넣어 감아줍니다.
어차피 그리핀이란 무화기는 액상 주입시에 에어홀을 닫아야 할 이유가 전혀 없는 무화기이기 때문에
빡빡해서 AFC링이 잘 돌아가지 않는다 해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평소 베이핑시 완전 개방이 아닌 특정한 수준으로 개방하여 사용하신다면 그 셋팅 상태에서 아래쪽을 고정시켜 줍니다.
이도 저도 안되서 짜증나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AFC링을 컷팅해버릴 생각이었습니다.
완화책 3번까지 작업을 하면 아예 사라지진 않아도 체감으로 느낄만큼 에어홀 부근 맺힘 현상이 줄어듭니다.
물론 레딧쪽에서도 분해 후 완전한 재조립을 권장하며 저 또한 분해 사진을 보면 안쪽에 테프론 테이프로 씰링 작업을 해주면
매우 좋을듯한 느낌을 받았지만 적어도 집에서 손으로 분해하기에는 제 힘이 모자른 듯 합니다.
테이블 바이스와 바이스 플라이어 및 약간 커다란 마이너스 드라이버가 있다면 분해가 가능할듯하며
재조립시에는 미친듯한 망치 타격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양형들은 힘이 좋아서 그런지 마이너스 드라이버 하나로 저걸 분리하고 재조립했다고 합니다.
번외 : 그리핀 25 미니의 AFC링 결로 완화책.
이건 그리핀 25 시리즈에 비해 간단합니다.
AFC링이 탈착되기 때문에 링을 빼신 후 위쪽 AFC링 회전 제한 돌기가 있는 부분쪽을 테프론 테이프를 꼬아서 감아줍니다.
애초에 링과의 유격이 꽤 있는 편이라 테프론 테이프를 꼬아서 감아도 링의 조립이 크게 문제되지 않으며
회전에도 아무런 제한이 없습니다.
이 작업을 하면 역시나 눈에 띄게 에어홀 눈물 찔끔이 줄어듭니다.
특히 그리핀 22, 25시리즈 같은 JFC(액상 유입구 셔터, 쥬스 플로우 컨트롤)기능이 없기에 액상 주입시 에어홀을 닫아줘야 하므로
절대 고정하면 안되고 최대한 유격 부위를 밀착시켜주는것이 좋습니다.
저는 설명충이기 때문에 글이 깁니다..핳ㅎ핳ㅎㅎ하하하!!
원래 이거 작업하는거 동영상으로 찍을래다가..안했습니다.
댓글 31건
김미미님의 댓글
|
|
저도 그리핀25 한 두카토 먹으면 자연스레 베어나오는 액상때문에 고민이었는데 감사드립니다
추천!! |
어쩌다투온님의 댓글
|
|
|
잉모탈님의 댓글
|
|
매번 저 액상 맺힘때문에 주력으로는 못쓰고 있었던 중이라.. Google에 Griffin Base Disassemble이랑 Griffin AFC Leak, Griffin Air Hole Leak등으로 검색하며 찾았습니다 ㅎㅎ |
잉모탈님의 댓글
|
|
본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은 그리핀 25 플러스...란 부분도 무화기 성능이 구려서가 아니라 저 액상 맺힘이 동일해서 봉인 상태였습니다 ㅠㅠ 흡입 습관을 바꿔서도 해결 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파이어 버튼 뗀 후 잔열이 식을때까지 흡입..약 1초정도) 저는 무화기란 놈을 제 습관을 바꿔서 맞추는게 아니라 무화기가 제 습관과 맞아야 한다는 관념을 가진지라... 그래서 본의아니게 그리핀 3종 셋트 모두 거의 봉인이었죠;; |
김미미님의 댓글
|
|
@잉모탈저도 베이핑 접을까 하다가 다시 손을 잡아준 무화기가 그리핀25라서요 ㅎㅎ
자주 세척 및 리빌드를 하는수밖에 없나 하다 귀차니즘에 지쳐 방치중이었는데 시간날때 좀 해봐야겠어요 |
잉모탈님의 댓글
|
|
어느정도 완화 수준에 그쳐서 조금 아쉽습니다 ㅠㅠ 다음 그리핀은 제발 에어홀을..지금같은 스타일 말고 위 아래 오링처리 되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경통, 손 조심하세요! |
국내주결경갤러리님의 댓글
|
|
잉모탈님 혹시 그리핀25 플러스 하프리빌드 해보신적있으신가요?
덱만 뽑아서 빌드하려고 뒤집어서 세워두면 액상이 주르륵 새더라구여. 이게 본문에 있는 유격때문에 그런건가요? 그리고 결로에 관해서는 저는 결로때문에 에어홀에서 누수가 난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어요 |
김미미님의 댓글
|
|
@잉모탈1,2단계 건너뛰고 바로 3단계로 넘어가도 지장 없을까요? |
잉모탈님의 댓글
|
|
저는 유격이 좀 심한편이라 1,2작업을 먼저 했고 그게 심하지 않은 상태인..처음 구매시와 비슷한 상태라면 3번으로 직행하면 됩니다 ㅎㅎ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
WOTOFO 무화기에서도
오래 사용하다보면 AFC 링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죠... 긱 베이프도 마찬가지... 이래서 완벽히 상부에서 내려오는 세이퍼 RTA 같은 게 아니면.. ㅠㅠ 일부 제조사 제품은 사용하기가 좀 꺼려지네요.. |
김미미님의 댓글
|
|
@잉모탈제껀 세척하고 처음엔 괜찮다가 한 두카토 먹음 그때부터 살짝 벌어지기 시작하더라구요 ㅜㅜ 나중되면 하부 눌렀을때 에어홀링 틈에 고여있던게 움찔움찔 합니다 ㅜ |
잉모탈님의 댓글
|
|
@국내주결경갤러리음..저도 하프리빌드를 자주 하지만 세워뒀을때 주르륵 샌적은 없었습니다ㅠㅠ
가끔 챔버, 침니, 드립팁에 고여있던 결로액상(대략 1카토 이상 사용하며 닦아주지 않았을 경우)가 어느정도 흘러나오기는 하지만 주르르륵 새버린적은 없었습니다. 유격 같은 경우는 사용하면서 코일 잔열에 의한 액상 증기가 에어홀쪽으로 나오며 온도차로 점차 액화되는게 쌓이는 부분입니다 ㅎㅎ 댓글 보고 스피드하게 그리핀 25 플러스를 꺼내봤는데 드립팁과 탑캡 사이의 결로액상(스포이드로 약 1~2방울)과 챔버내 고여있는 결로액상이 2중 침니를 타고 탑 에어 플로우 구멍으로 나오는 경우 이 두가지 말고는 없었습니다 ㅎㅎ -혹 침니와 챔버 파트 사이의 오링의 훼손(혹은 망실)등으로 인해 내부 기압이 깨져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만 이 경우에는 베이핑시에도 액상이 아래쪽으로 흘러 꾸르르륵거릴 수 있습니다. -에어홀 누수 라기보단..으음..결로가 좀 심히 맺히는 느낌입니다; 표현 그대로 마치 땀흘리듯 찔끔 맺히는... 주로 AFC링의 상단, 하단 틈새에서 나옵니다. |
잉모탈님의 댓글
|
|
@나태한목소리저도 그러다보니 개인적으로 RTA구조에서 가장 맘에 들고, 불만점 없는 녀석이
VCST입니다. 어지간히 솜 정리만 대충 해줘도 누수도 없고, 액상 맺힘도 일반 드리퍼 수준이라 거의 VCST가 주력인듯 합니다. 글 작성 이후 소외된 이웃(?)들에게 미안해서 VCST는 세척해두고 그리핀 25미니와 아로마 슈프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ㅎㅎ OBS엔진도 좋다하던데..안써봐서 잘;; |
잉모탈님의 댓글
|
|
@김미미네 맞습니다 ㅎㅎ 저도 완벽히 동일 증상입니다.
첫 카토 사용시에는 저 작업 전에도 누수생각이 없었는데.. 전 액상 넣으려고 쥬스홀 올리면 그 틈새의 액상이 배어나오고 그 이후부터는 계속 나오더라구요 ㅎㅎ 마치 땀처럼..한번 나니 계속 그 땀을 타고 나오나봅니다;; 에어홀이 약간의 유격이 있다보니 잡고 까딱까딱 해보면 노는데.. 그 유격 부분에 필연적으로 결로 액상이 맺히고 그게 AFC링 조작, 경통 조작 등으로 새어나오는게 촉발되는듯합니다 ㅠㅠ |
국내주결경갤러리님의 댓글
|
|
@잉모탈실 베이핑 환경에서는 아무 문제 없다가 하프리빌드를 하려고 덱만 꺼내고
('챔버-경통-침니-드립팁' 이 부분을 A로 표현하겠습니다.) A부분에선 경통에있던 액상이 다 새어나오고 탑에어플로우부분을 닫아도 그러더라구요... 그래도 슈프림때 에어플로우 링 결로보단 덜 불편해서 액상을 빨리 먹어버리고 빌드를 합니다. |
잉모탈님의 댓글
|
|
@국내주결경갤러리그리핀 25 플러스의 경통 또한 그리핀 22~25 시리즈와 동일하게 폐쇄형 구조라
경통에 있던 액상이 전부 새어나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한번 전체 오링을 스페어 파츠로 교환해보심이 어떠실런지요? 가장 의심이 가는 부분이라면 탑캡과 침니 결합부의 오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침니 끝단) 혹은 탑캡 바깥쪽 오링이라던가요.. 제가 가진 그리핀 플러스 역시 경통의 조임 느낌이 그리핀 25미니에 비해 상당히 부드럽습니다. 마치 오링의 밀착이 덜 되는 느낌처럼요;; 경통 파트 자체는 유리경통 위 아래의 경통만 무사하면 내부에서 샐 일이 없으므로 가장 의심 되는 부분은 탑캡에 붙은 오링과 경통 침니파츠 제일 위쪽(탑 에어플로우 구멍 있는쪽)작은 오링일것 같습니다. |
김미미님의 댓글
|
|
@잉모탈에고 손을 좀 봐서 써야겠네요 무화기를 셀프 as해야 할줄은 몰랐네요 ㅋㅋ |
잉모탈님의 댓글
|
|
그리핀은 정도가 좀 심한 것 같아요ㅠㅠ 비슷한 성능에 동일한 스타일의 덱인 TF-RTA G2는 솜정리서부터 AFC결로까지 거의 스트레스 없이 사용중인데..유독 그리핀이..(+아로마마이저 슈프림..) |
절제님의 댓글
|
|
|
김미미님의 댓글
|
|
@잉모탈vcst를 애용해야 겠습니다
뭘해도 멀쩡한 vcst! |
잉모탈님의 댓글
|
|
원본은 30mm버전도 나오던데..클론 뜨면 얼른 낚아야겠습니다 ㅎㅎ |
절제님의 댓글
|
|
|
잉모탈님의 댓글
|
|
@절제ㅎㅎ 저는 베이핑 습관이 그래서 그런지 어떤 무화기던
베이핑 직후 잔여 연기가 AFC쪽으로 상당히 흘러나오는지라.. 어떤 무화기를 써도 결로가 심하더라구요 ㅎㅎ 연구...까진 아니고 살려보려는 발악 정도입니다 ㅎㅎ |
국내주결경갤러리님의 댓글
|
|
@절제흠.... 다른분들이 없는 결로는 제가 없고
대신 하프리빌드 불가상태는 저밖에없는게 참 곤란한 상태네요...ㅠ |
국내주결경갤러리님의 댓글
|
|
@잉모탈이게 저도 쓰다보니 자체결함이라는게 뭔지 느껴지네요....
부담스러운 부탁인거 잘 알지만 혹시 잉모탈님 VCST 와 아로마마이저슈프림,그리핀 시리즈 를 제외한 듀얼폐호흡 무화기 추천좀 해주실수 있으신가요? 이제 에일리언클랩튼 쓰려고 페텍에서 구매해놨는데 결로때문이면 그리핀에선 사용하기 힘들거같네요..ㅠ |
절제님의 댓글
|
|
|
절제님의 댓글
|
|
|
그루브즈님의 댓글
|
|
제 X-Tank는 완전 불리 됫었는데 대충 낑겨서 사용중인데 ㅎㅎㅎㅎ |
잉모탈님의 댓글
|
|
물론 박살 말고요(ㅋ) |
알탱님의 댓글
|
|
이정도면 팁게로 가야 하는것 아닌가요?
그린핀 소유자 입장에서 참치 드립니다~ |
잉모탈님의 댓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