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초보들을 위한 코일링 팁! (폐호흡, 수정) > 입문가이드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입문가이드
회원아이콘

두번째 초보들을 위한 코일링 팁! (폐호흡, 수정)

페이지 정보

초보뿌뿌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7-08 17:56 11,251읽음

본문

솜추천에서 말했듯이 필자는 맛표현은 주관적이라 생각하기에 패스합니다. 저를 포함한 초보분들을 위한 빌드우선 추천입니다.

 

추천에 앞서 코일링을 하실 때 4바퀴이상 7바퀴이하로 감으시면됩니다.(물론 무화기의 빌드덱에 따라 다릅니다.)

 

필자는 코일계산기하기 귀찮으면 손에 잡히는 코일로 5~6바퀴감은 후 가변기로 확인합니다. 입호흡은 르제피르로 갓 입문하였기에 폐호흡위주로 설명!

 

랩핑관련 사이트 : http://www.steam-engine.org/coil.asp?r=0.5&hfnw=30&awg=24&id=3 (스팀엔진)

 

랩수나 파이는 추천안해주시냐는 글이 있는데 하나만 차이나도 옴수가 달라지는데 정확히 추천을 해주라는건 말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쓰는방법

 

자신이 쓰는 게이지수(게이지수만 적어넣으시면 됩니다 뒷부분 신경x).  set up : 싱글 or 듀얼 (자신이쓰는 덱), 타겟옴: 0.x 옴

 

inner diameter( 가이드봉의 굵기를 뜻합니다. 대부분이 2.5mm, 3mm 입니다), long length: 다리길인데 저는 그냥 5로만 맞춥니다 (설명부족 ㅈㅅ..)

 

여기서 타겟옴만 지정하시면 몇바퀴를 감아야하는지 나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감는 수는 4~7바퀴 사이면 안전합니다.

 

앞으로 설명할 게이지에서 색깔글자부분은  타겟옴으로 설정하기 좋은 옴수를 뜻합니다.

 

 

 

 

1. 24게이지

 

코일계의 이니스프리 오가닉솜. 가장 무난합니다. 코일강성도 적당하고 코일링후 솜을 넣으실 때 코일이 무너지는 경우도 덜합니다.

 

싱글빌드 0.5옴정도로 빌드하실 경우 5~6바퀴 감으시면 됩니다. 듀얼은 절반 0.25옴이 됩니다.

2. 26게이지

 

애매한 코일입니다. 강성이 조금 약하여 싱글로 빌드하셨을 시에 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싱글 0.7~0.8옴정도로 빌드하시고 싶으시면 26게이지

 

추천드립니다. 저는 싱글에서 0.3옴정도로 빌드하고 싶을 때 트위스트로 빌드합니다. but 빌드가 쉬운 덱에서만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강성이 24게이지

 

보다 조금더 강한데 손이 아파서 저같은 경우에 캣츠드리퍼 빌드에 시도하다 손가락 날라갈뻔 하고 포기했습니다.'

 

3. 28게이지

 

저는 트위스트로만 사용합니다. 싱글 0.5~0.6옴으로 빌드하시고 싶으실 때 추천드립니다. 트위스트코일을 처음 시작하실 때 좋습니다.

 

저같은 경우에 듀얼 드리퍼 0.3옴 정도로 맞출 때 사용하고 강성은 24게이지와 비슷합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솜넣을때 24게이지보다 조금더 편한

 

듯 합니다.

 

4. 26*32 클랩튼 코일

 

좋은 코일이라고 생각하지만 두발이상 가변기가 있으실 경우에 사시는걸 추천드리고 추가로 프리힛기능이 있으면 진가를 발휘하는 코일입니다.

 

다른 코일에 비하여 열을 천천히 받고 천천히 떨어뜨리는 코일입니다. 그래서 베이핑 시작시에 높은와트를 쏴주고 점차 와트를 떨어뜨려주는 기능이

 

있는 가변기가 있으시면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스팀엔진에 가서 정확한 값을 넣고 구할 수 있지만... 그냥 27게이지값을 넣으면 거의 비슷하게 나오니  부담가지실 필요는 없습니다.

 

 

​한줄평.

 

24게이지: 이거사세염

 

26게이지: 음.. 궁금하면 사보세염

 

28게이지: 트위스트만들기도 쉽고 빌드하기도 쉬워욤
*댓글 피드백해서 결론
폐호흡유저 완전전향 , 하나만산다:24
폐홉가볍게입문 or 입호흡&폐호흡:26
두개살거다:26&28 or 24&26

 

클랩튼: 두발가변기 사면서 같이 사세염

 

 

 ***********

수정이라기 보다는 조금의 설명을 추가하겠습니다. 위의 글은 폐호흡위주의 글입니다. 글머리에 있는데 안읽으시고 입호흡은 에대한 추천을 해주시는

 

분들이 많은데 개인적으로 이글에 추가하기에는 제가 입호흡유저가아니라 다른분들이 글을 새로작성해주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제목으로 수정)

 

그리고 하나더 말씀드리면. 주관적이다라는 말이많으신데 제가 입문할때 그 주관적이라는 말때문에 몇게이지를 사야할지 고민을 많이했던기억이있네요

 

딱히 커뮤니티의 글이 도움이 되질못했습니다. 압니다 결국은 다 사실거라는걸 하지만 폐호흡을 입문하실때에는 0.5옴으로 시작하시는게 좋고 빌드도

 

쉬운 24게이지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클랩튼 코일에 대한 생각은 변함없습니다.

 

주관적이라는 것에서 벗어나서 당당히 추천을 해야 입문자가 많아지지 않겠습니까. 둘러둘러 가는건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추가해서 수정하실분들은 동의없이 진행하셔도 됩니다
입문자들에게 뚜렷한 글들이 많지않습니다 용기를 기다립니다


 

 


[이 게시물은 이베이프님에 의해 2016-12-01 11:11:36 팁앤가이드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이베이프님에 의해 2018-04-10 10:35:21 입문가이드에서 이동 됨]
추천 8

댓글 47

리지스님의 댓글

리지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군 528과 알파인 RDTA이거두개쓰고있습니다 여기엔 몇게이지를 몇바퀴정도돌려야하나요?
둘다듀얼입니다 샵에서 해준건 0.21옴이라고뜨내요

톰브라운님의 댓글

톰브라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제가 전자담배 입문하면서 이베이프 접속하고, 무화기 추천받아서 서브탱크미니 구입했는데, 달려온 기성코일이 옴점프가 일어나는 불량이라 눈물 머금고 강제 리빌딩을 시작했었구요

당시 많이 추천해주셨던 와이어가 26게이지였습니다. 무난하게 사용중이고 이노킨 isub G 탱크, 섭탱, 크라운탱크 리빌드 모두 26게이지로 잘 쓰고 있습니다. 별 문제 없습니다. 오히려 24게이지를 나중에 손대게 되었네요.

별별님의 댓글

별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26, 28도 페러렐이나 트위스트 등으로 쓰면 간단하게 폐호흡 기기에 쓸 수 있다고 봅니다. 제가 이렇게 사용중입니다. 다른 변형 와이어와 달리 저 두가지 방식은 쉽게 사용 가능하기도 하구요. 그리고 단일로 입호흡에도 쓸 수 있구요.
가장 보편적이며 쓰기쉬운 두 와이어라고 봅니다.

elak님의 댓글

elak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우선 작성자분께서 제가 적은 댓글을 제대로 읽고 이해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우선 제 처음 댓글은 초보뿌뿌뿜 님께서 본문에 밝히신 것 처럼24게이지가 정답이지만 26게이지는 궁금하면 한번 사보세요 라는 뉘앙스의 내용이 상당히 주관적인 내용이라 생각되어 24, 26게이지 각각 장단점이 있다는 의견을 전한거구요. 본문내용에 게이지별 강성은 제가 이해를 못했다는게 아니라 보는이에따라서 더욱이 초보자라면 오해의 여지가 있다는 이야기입니다(이이야기는 벌써 3번째 하네요) 본문에 트위스티드 코일링 후 강성이라고 확실히 적으신 것도 아니고 트위스티드 코일이 뭔지 모르는 입문자 분들이 봤을때 정확히 이해하겠습니까? 그리고 제가 글을 이해 못해서 이해시켜달라고 말씀드린 것도 아니고 본인이 댓글에는 26게이지는 강성이 약해서 3~4바퀴 위킹하기 '너무' 힘들다고 적어 놓으셨는데 이건 본인도 의견정리가 안된것 아닌가요? 팁글이 다소 주관적으로 보여 제 의견한번 적었는데 계속 공격적으로 받아들이시는 느낌이 들어 저도 불쾌함을 느껴 따져봅니다.

forvape님의 댓글

forvap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26게이지와 관련된 설명은 솔직히 안하시니만 못한 설명 같습니다. "강성이 조금 약하여 -> 강성이 24게이지 보다 더 강한데"와 같은 왔다갔다 하는 설명은 입문자에게는 글쓰신 분의 의도와 달리 혼란만을 주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관적인 느낌으로 설명을 하시는 건 팁으로 소개하시기에는 문제가 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설마 일부 내용을 수정을 하는 과정이 있었다 하더라도 상당히 초보분들이 글을 읽으시기에 난해할 것으로 생각이 드네요.

둘러둘러 가는 것은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쓰셨는데 개인적으로는 쓰신 글이 매우 둘러둘러서 쓰셨다고 느꼈습니다. 초보분들을 위한 팁이라기엔 저는 동의하기가 매우 어렵네요. 딱히 커뮤니티의 글이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말씀처럼 작성자분의 글을 읽고 확실하게 도움을 받는 초보 유저분들이 많으실지 싶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모구님의 댓글

모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RDA는 22게이지 칸탈이 제일 좋은거같아요~ 저같은 경우엔 아날기기에 긱베이프 SS316L 와이어 24게이지 이용하는데. 아날로그에서 스뎅와이어는 더 부드럽게 파이어 되고 저항도 더 낮게 잡혀 좋더라구요~ 저같은 경우엔 맛표현 보다는 퍼포먼스 위주로 봐서 이런식으로 와이어를 구매하고, 작성자님께서는 윅킹과 다른 여러 빌드 환경을 고려하시며 와이어를 구매하듯이. 와이어 구매는 종류별로 다 해보시고 빌드도 직접 경험해보시는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폐호흡 관련 코일링이라고 적어놨는데 , 왜 태클이냐 생각하지 마시고 ㅎㅎㅎ
이 글을 보시는 여러 초보분들이 입호흡유저일경우를
대비해서 댓글에 적어주시는거라 생각해주세요

저는 물론 진성 폐호흡만합니다 ㅎ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추천

무명님의 댓글

무명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팁이라고 해야할지... wrap도 5~6이면 1바퀴 오차라니...
코일링 두께도 없고... 그리고 결론 전에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할듯하네요.
잘봤습니다

kisez님의 댓글

kisez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저도 24게이지를 제일 좋아합니다.ㅎㅎ

그런데..
게이지는 무화기에 따라 게이지 선택을 달리해야해서요.
입문자에게 무턱대고 이거다라고 추천하기는 좀..
팁은 조금 더 객관적이었으면 좋겠습니다.ㅠㅠ

elak님의 댓글

elak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초보뿌뿌뿜어떤 의도로 작성 하신지 이해 합니다만 본문 자체는 충분히 오해의 여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말씀대로 초보분들을 위한 0.5 타겟팅에 2.5~3mm 가이드 기준이라면 탱크형 22mm 무화기 싱글덱 에서 24게이지보다 26게이지가 더 유리한 면도 있다고 생각 됩니다 24게이지나 26게이지나 뭐가 더 적합하다 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초보뿌뿌뿜님의 댓글

초보뿌뿌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elak26게이지로 0.5옴을 맞추려면 2.5mm가이드에선 4바퀴 3mm가이드에선 3바퀴입니다.
힛플럭스도 너무높고 강성이 약한 26게이지로 3~4바퀴에선 위킹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그리고 제가 저분에게 댓글을단건 26게이지가 강성이 높다는게 아니고 트위스트일때 강성이 높다한걸 대답해드린 겁니다.

어어어님의 댓글

어어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초보뿌뿌뿜글은 제가 잘못읽었나 세번정도 확인하고 댓글 드린거구요.
24, 26, 28, 28트위스트 다 써본바 말씀드리는 겁니다.
24는 적당하다, 26은 약하다, 28은 (글쓴분은 트위스트로만 쓰며) 24랑 비슷하다고 쓰셨던데요.
그리고 경험상 28을 꼬았다고 해도 24만큼 강해지지는 않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elak님의 댓글

elak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초보뿌뿌뿜강성에대한 이야기는 제가 말씀드렸듯 작성자분의 의도는 이해하였으나 본문을 읽는 이에따라 오해의 여지가 있겠다는 말이었구요 26 게이지가 유리할 수 있다는 말은 아직은 가장 대중적인 22mm 무화기에 스페이싱 코일, 싱글 리빌드 덱의 공간의 협소함을 생각하면 26게이지가 장점이 있다는 말입니다. 물론 이런걸 논외로하면 22, 24게이지가 더 장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26게이지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작성자분이 밝히신 초보자 분들울 위한 팁으로는 부적절 하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사실 26게이지가 코일링에 문제가 될만큼 무르다고는 생각되지도 않구요..

초보뿌뿌뿜님의 댓글

초보뿌뿌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elak솔직히 말해서 어렵게 설명했다고는 생각하지 않구요 본문에선 26게이지가 약간 물러서 휘는경우가 있더라~ 이정도라고만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0.5옴세팅을 26게이지로 하신다는거에 대해서 댓글을 달아드린건데 본문이랑 혼동하시고 댓을 다시면 제가 이해시켜드리기가 어렵네요

시걸님의 댓글

시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폐호흡 위주의 설명이시네요. 입호습은 28,26게이지를 더 많이 쓰죠. 즉 이건 어떤 무화기를 쓰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보여지는군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사실 가장 좋은 정답...
게이지별로 다 사다놓고 써보시는게.....-_-;;
클랩튼도! 타이거도! 트위스트도!
다..사서 써봐야 이게 좋은건지 아닌건지 감이 올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eVel님의 댓글

ReVel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초보자가 입문하시기엔 24보다 26이 더 좋습니다.

폐호흡도 이용할수있고 입호흡도 이용할수있거든요. ㅎㅎ

폐호흡시에는 트위스트를 만들어 사용하면 무화량도 좋아지고 입호흡시에는 계산이 너무 쉽다는겁니다.

병행사용이 편한 게이지라 재의견으론 첫시작은 26으로 하시는게 제일 좋습니다.

레스폴님의 댓글

레스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뿌뿌뿜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이게 사실 사람마다 다르고 기기마다 달라서 한번쯤은 다 써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순전히 개인적 생각으론 리빌드의 기본은 28게이지, 7~8바퀴, 1.0~1.2옴 카라플이라고 봅니다.

초보뿌뿌뿜님의 댓글

초보뿌뿌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레스폴아.. 저는 폐호흡위주로 추천드린거라서욤 제가 입호흡기기는 거의몰라요ㅠ.. 나중에 써볼기회가있다면 수정하겠습니당~

입문가이드 목록

전체 206건 10 페이지
인기글 요새 새로전자담배 입문하신분들을 위한글 (리빌드와 기초재료)

07-01 panini

댓글54
인기글 음..모드 입문자를 위한 뻘글(내용이 깁니다..)

02-04 잉모탈

댓글33
인기글 <본문내용 추가>입문자를 위한 니코틴 계산파일 v2

09-09 조세포탈범

댓글35
인기글 온도조절 가변기 입문하시는 분들을 위한 팁

08-24 Veta

댓글6
인기글 모드기기 입문하시려는분들 참고만하세요.

04-24 개얼굴

댓글18
인기글 초보도 배송대행지 서비스 이용해봅시다!! (배대지)

10-28 개얼굴

댓글91
인기글 솜 삽입시 자꾸 끊어지는 초보를 위한 초보의 미세 나노 원자단위 팁

09-12 gsting

댓글10
인기글 전자담배를 분류해보자- 초보자에게

08-31 지갑

댓글24
인기글 초보를 위해 썼다지만 모두 알아둬야 할... 유해성

08-29 지갑

댓글35
인기글 두번째 초보들을 위한 코일링 팁! (폐호흡, 수정)

07-08 초보뿌뿌뿜

댓글47
인기글 초보들을 위한 솜선택 팁!

07-08 초보뿌뿌뿜

댓글22
인기글 카라플 리빌드 성공까지 나노먼지팁(왕초보용)

03-15 초뿜맨보

댓글10
인기글 초보분들을 위한 카라플 리빌드하기

02-08 비엔베이프

댓글70
인기글 초보님들을 위한 가습에 대하여~

12-31 알엘

댓글36
인기글 탱크형 무화기 고르기 팁(초보자용)

11-14 Newant80

댓글59
인기글 (초보) 돈안들이고 김장 중탕하기..ㅋㅋ

11-12 녹차티백

댓글26
인기글 초보를 위한 니코틴 간단한 정리

11-08 알엘

댓글19
인기글 초보를 위한 전자담배의 시작(가변,기성,배터리,액상,니코틴)

10-03 유하몬

댓글110
인기글 <초보용> 니코틴 비율과 방울수 계산

09-06 조세포탈범

댓글18
인기글 초보를 위한 자작 레시피 만들기, 성공확률 높이기 ^^

06-29 마리치

댓글23
인기글 초보자는 모를수있는 리빌드팁

05-17 보이친

댓글22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