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답타 방식의 모드 충전기 대체 활용팁..
페이지 정보
작성일15-09-09 22:21 1,740읽음본문
요즘 몇몇 모드들의 충전커넥터가..
마이크로5핀이 아닌 원형 플러그 타입으로 나오는 것들이 있습니다..
자체 포함이든, 별도 구매이든 외부 아답타를 써서 충전을 해야 하는 것이죠..
여행을 간다거나 했을 때에 은근히 불편합니다..
제조사나 설계자는 그 불편함을 몰라서 그렇게 했을까요?..
USB의 애초 설계가 고전력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고 하는 얘길 들었습니다..
그래서 500mA가 기준이 되는 것이고요..
최근 3A 까지도 지원되는 USB 아답타 및 케이블이 나왔지만..
이건 전용설계가 된 것들이나 그렇지..
일반케이블은 1A이상 설계가 아니란 얘기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안전상 폰에서 케이블을 인식하지 않으면 1A 이하의 전력만 받도록 제한이 걸리기도 하고요..
그래서 마이크로5핀이 아닌 플러그 타입으로 출시를 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각종 외장 배터리 및 USB 아답타들도 2A 이상은 흔하게 볼 수 있죠..
그래서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어도..
요런거 하나 준비 해 두면 괜춘합니다..
벌크로 구입을 할 경우라면 개당 천원 이하에도 얼마든지 구입할 수 있고요..
판매점에서 처음부터 구비를 해 놓고 함께 공급을 하면 덜 불편할겁니다..
범용성과 편리성으로는 마이크로5핀이 최고이지만..
안전을 생각한다면..
약간의 불편은 감수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17건
에이취님의 댓글

|
보통 5핀 충전기들이 폰을 사용하면서 남는것들로 사용을 하다보니
근래 고 암페어화 해버린 충전기들이 모드 기기에 문제를 초래할수 있는 여지는 충분해 보이네요 그래도 주의 사항을 써주고 범용적인 5핀을 써준다면 주의사항만 지키면 될건대 하는 아쉬움도 남는 부분이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
솔개님의 댓글

|
@에이취주의사항으로는 불가합니다..
실제로.. 에이취님의 댁에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로5핀 케이블들 중에서 2A이상의 전력으로 설계된게 어떤건지 찾을 수 있나요?.. 전 둬개 나옵니다 만.. 나머지는 확신할 수가 없거든요.. 주의사항을 적어 줘도 케이블을 구분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생기고.. 그러한 문제를 폰에서는 자체 제어로 전력을 제한 하는데.. 모드에서는 전류제한 기능이 없이 풀로 받아 들이게 되죠.. 케이블은 저전력인데.. 아답타와 기기는 풀로 주고 받고.. 배터리만 폭발하는게 아니라 케이블도 열받아 불납니다.. 단적으로 설명을 한거긴 하지만.. 설계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 것이고, 불편해도 따를 수 밖에는.. |
에이취님의 댓글

|
@솔개아... 제가 글을 잘못 읽었나보네요
전 충전용 핀에 대한 얘기로 봤었는데 케이블 얘기셨나봐요 죄송합니다 |
수정구왕발님의 댓글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군요
일단 어답터는 아이폰,아이패드용 1A,2A 짜리 사용하구요 케이블은 휴대폰중에 2A어답터랑 같이 나온걸로 사용중입니다. 왠지 패키지로 날라오는 케이블은 못믿겠어서 사용한거지만 잘한거였군요. |
솔개님의 댓글

|
@에이취응??..
둘다 같은 얘기 인데요??.. 케이블 전력을 높여 봤자 단자의 한계가 있지요.. |
솔개님의 댓글

|
@수정구왕발USB 전력측정기가 있는데..
그거 물려놓고 충전해 보면 바로 느낍니다.. 케이블에 따라서 충전량이 확 달라요.. 폰 자체에서 차단을 해버리는 거죠.. 폰 충전은 문제가 안됩니다.. 알아서 제한을 걸어 버리니깐.. 모드가 문제라는 것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
솔개님의 댓글

|
@에이취오해가 있는 거 같아서 다시 설명을 드리면..
10A 출력의 아답타에 1A충전의 모드를 연결해도 최대 1A의 전력만 들어 갑니다.. 출력이 높다고 해서 그 출력을 강제로 미는게 아니고요.. 되려.. 1A입력의 기기에 1A이하의 아답타를 물리게 되면 과부하가 걸려서 문제가 되죠.. |
에이취님의 댓글

|
@솔개그래요? 그럼
제 얘기는 1A 충전기는 대부분 가지고 있을거고 외부에 나가서도 어뎁터 본체를 보면 A가 써있으니 본인이 조금만 신경쓰면 외부에서도 충전이 가능한데 저런 방식은 선을 따로 가지고 다니거나 어뎁터를 챙겨 다녀야 하니 범용적인 5핀을쓰고 본인이 주의 하는게 좋다고 말한거에요 |
솔개님의 댓글

|
@에이취네..
이해를 하셨던 거군요.. 전달상 제가 약간 다르게 이해를 했던 거.. 범용성을 따진다면 분명 마이크로5핀이 좋은데.. 실제 사용하다보면 아무데나, 아무 케이블이나 막 꽃게 되는게 현실이죠.. UM20의 경우 1A 이하의 전원이 들어올 경우에는 스스로 꺼져 버리는데.. 그게 아답타쪽의 과부하를 막기 위한 설계이듯이.. 회로 설계를 넣어 주거나 하지 않는다면.. 차라리 단자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그나마 최선이라 판단했을 겁니다.. 저는 그 상황을 편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 드리는 것이고요.. |
수정구왕발님의 댓글

|
@솔개네 전력측정기는 따로 없지만 두가지 아답터를 썻었는데 2A와 케이블로 충전했더니 본체가 엄청나게 뜨거워지고 충전게이지가 널뛰기를 하더라구요 그후론 1A어답터 로만 충전하구요.
그후로 자세히 아웃풋 인풋 충전기 모드기 아답터 전부다 습관적으로 다 보게 되고 정해진 규격으로만 사용하구요 아마 안전에 관심있는분은 하고 계셨겠지만 |
에이취님의 댓글

|
@에이취네 그렇게 말씀하신거 같아서 좋은정보 감사 하다고 말씀드린거에요
다시한번 좋은정보 감사드려요 |
G곤드래님의 댓글

|
헐 나는 여태까지 콘센트에 꼽는 플러그 아답타만 2A면 태블릿에 쭉쭉 밀어주는지 알았어요-_-;;;
케이블도 2A짜리를 써야하는군요 |
솔개님의 댓글

|
@G곤드래신형의 정품 케이블들은 거의 대부분 2A 지원합니다.. |
비익연리66님의 댓글

|
@G곤드래제조사에서 동봉해서 주는 전용 케이블 /충전기는 충족합니다
필요에 의해서 구매하는 사제(?)들에서 그런 문제가 많죠 특히나 저가형 아답터는 생산원가 부분에서 필요불가결한 것을 제외하고 빼버리는 것이 문제라 실제로 케이블이 녹아버리는 사용자도 많습니다. 그래서 제가 몇일전 아답타를 하나를 사도 정상적인것을 구매하라고 한 것이죠 저는 애플 아이폰 충전기 정품을 두개 사서 씁니다. ^^; 케이블은 삼성핸폰에 딸려온것을 사용하고요 |
G곤드래님의 댓글

|
@비익연리66네 그런데 오래쓰다보면 연결부위가 덜렁덜렁.. 케이블과 잭 머리이음새부분이 달랑달랑하게 되더라구요.. 그냥 아무생각없이 노는 케이블 암꺼나 갖다 꼽았거든요-_-;;; 태블릿살때 같이있던 2A아답타는 멀쩡해서 케이블은 암꺼나써도 2A로 충전되는지 알았어요 |
아침안개님의 댓글

|
추천 드립니다.^^
이런것들 사소한거 같아도 하나하나 지켜줘야 하는부분 이거든요. 점점 모드기기가 대용량으로 출시되는데 200W면 잘하면 라면도 끓여먹을수 있습니다. 절대 안전을 위해서 이런부분들은 상식으로 알고계셔야 하고 지켜져야 합니다. |
솔개님의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