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젤로 핀고장나서 팟인식 안될때 고치는법 (간단함)
페이지 정보
작성일25-02-19 13:13 10,677읽음본문
갑자기 팟 인식이 안되고 NO ATOMIZER 뜨면서
안빨리길래 구글에 찾아봤는데
핀이 고장나서 안올라오는 경우가 꽤 많더라구요
이미 구매한지 일년 다 되가서 새로살까 하다가
본체랑 팟이랑 접촉만 되면 되는거 아닐까?
하고 은박지 대충 잘라서 껴주니까 잘 작동하네요
은박지 두께는 약 1mm 정도로 만들었고
움직이지 않게 순간접착제로 양끝에 살짝 붙여줬어요
아마 사진보면 어떻게 할지 이해되실거에요
젤로 아니여도 비슷한 방식의 전담에서는 다 먹힐듯해요
젤로 고장 검색하니 여기 사이트가 제일 많이 나와서
여기에 글 남겨봐요
한분이라도 이 글을보고 도움이 되시면 좋겠어요!!
그럼 20000~
추천 5

댓글 9건
감뿌님의 댓글

![]() |
감사합니다 ㅎㅎㅎ |
Jerry00님의 댓글

![]() |
헐 이거 진짜 대박 꿀팁이네요...
젤로 다좋은데 이거때문에 몇 개 갖다 버렸는데 ㅠㅠ 감사합니다 |
Astra님의 댓글

![]() |
어우...너무 위험한 방법인데요...ㅠㅠ
호일 돌아가서 옆에 극이랑 맞닿으면 바로 쇼트납니다... 보호회로가 있어서 괜찮다고는 하지만 회로쪽에 문제가 있다면 폭발위험도 있어요 거기다 접점과 호일에 닿는 면적이 넓으니 배터리소모도 많이 될거구요. 일시적으로 사용할수는 있겠지만 해결책은 되기 어렵지않을까 싶습니다...ㅜㅜ |
vegout님의 댓글

![]() |
@Astra젤로 맥스 이용자임. 저 임시방편 했을 때 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 다 온거 같아서 후기 알려드립니다.
1. 쇼트 - 이전 젤로 쓰다가 디자인 혹해서 샀더니... 맥스의 어마무시한 결함들에 매번 실망했는데 이건 보면서 그나마 믿음이 갔던 것이 쇼트. 쇼트가 있긴 했었음. 근데 딱 쇼트 문구 뜨면서 작동 안함. 게다가 쇼트의 원인이 두깨였음. 이건 다음 항목에서 같이 말하겠음. 2. 저항 - 제건.... 좀 심하게 스프링이 나갔는지 (산지 반년 이제 되는 애인데...하 맥스 개싫다진짜) 처음 저 방법 보고 시도했을 때, 인식은 하는데 계속 1.0옴으로만 나오기만 함. 0.6 사용 중인데ㅠㅜ 그래서 몇 번을 해도 안되어서 그냥 포기하고 다음 날 다시 도전. 1mm라는 말에 그냥 마냥 얇게만 했었는데, 뭔가 사진 다시 보니까 은근 두께가 있어보여서 한 엄지손톱만하게 뜯은 걸 기준으로 처음엔 4번 접을 정도로 하여 바닥에 두고 장착. 그랬더니 쇼트가 옴. 너무 두꺼워서 팟이 약간 들 뜨는 현상이 생겼고 그랬더니 흡입해보기도 전에 Short 문구 뜨면서 애가 알려줌. 그래서 같은 엄지손톱 넓이에 이번엔 2~3번만 접어서 옆 단자에 안 닿게 잘 하여 바닥에 두고 결함. 그랬더니 0.6옴으로 완벽히 인식하며 현재까지 잘 사용중. 뭐 겨우 2일차지만. - 결론: 이 원리가, 간혹 정말 급한 상황에 손전등 필요한데 건전지가 하나가 모자르고, 심지어 aa 필요한데 aaa밖에 없다면, 은박지로 빈 공간만큼 넣어 연결하면 전압은 좀 부족해도 임시방편으로 쓰는 법이 있음. 그거와 같음. 물론 그건 저항이 그렇게 강하지는 않아서 탈 염려는 없지만 전담은.... 잘은 모르겠음. 그래도 쇼트 오면 알아서 잘 인식하고 끄는 걸로 봐서는 믿고 쓰는 중. |
vegout님의 댓글

![]() |
@vegout작성 후 또 이틀이 지났습니다.
또 다른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려했던 과열이 발생합니다. 베터리쪽은 아니고 팟이 쉽게 과열됩니다. 새로 갈아넣은 애 인데 좀 평소보다 많이 빨았더니 갑자기 바로 탄맛이 올라옵니다. 이거 고장나서 임시로 쓰실 분들은 살살 쓰셔야 할겁니다. |
반달호랑이님의 댓글

![]() |
@Astra전기 관련은 정말 심각하게 안전 또 안전을 되뇌이셔야... 관련 직종에 종사하고 감전사고도 당해보았지만 매우 위험한 행동이시네요 혼자 모든 책임을 감수하고 사용하시는거야 상관없지만 팁이라고 하고 공유하시기엔 저도 문제요소가 꽤 있어보입니다.... 배터리는 위험합니다 .... |
김루루님의 댓글

![]() |
@Astra작성자 입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젤로와 같은 완성품 전자담배에는 과전류, 단락 보호등 내부 회로에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게 없으면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팟이 분리되었을때 동전, 열쇠등 쇠붙이와 연결되어 말씀하신것과 같이 위험할테니까요) 본문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본드등으로 고정한 접점부가 떨어져나가 접점부가 단락이 되고, 하필이면 보호회로들이 모두 문제가 있어 배터리 인입라인 까지 타고 들어가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까지는 생각하지 못했네요. 현실적으로 발생 가능성은 거의 없겠지만 경우에 따라 위험할수도 있으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혹시 따라하시려면 접점부가 이탈/단락 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시길 권합니다. 추가 : 접점부나 전선의 크기(굵기)는 배터리 소모량과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고전류/고전압으로 갈수록 회로가 두꺼워지는건 저항 때문입니다. 인과관계가 앞뒤가 바뀐 주장입니다. |
RedDestiny님의 댓글

|
저도 저상태여서 얇은 철사로 써본적 있는데 귀찮아서 하나 더 산 경험이 있네요
쭉 잡아 뺄 수 있다면 속 엄청 후련해질거 같아서 아직 보관중인데 수술 함 해봐야겠어요ㅋ |
vegout님의 댓글

![]() |
그래서 궁금한게,
혹시 작성자분께서도 지금도 잘 사용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그 사이 바꾸셔서 모르실려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