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xotic Surface by Wismec. 감상평. > 리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연구실 인기글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리뷰게시판
회원아이콘

Luxotic Surface by Wismec. 감상평.

페이지 정보

고양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8.43) 작성일 님이 2019년 05월 16일 19시 27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1,468 읽음

본문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8592_4893.png

 

Luxotic = Luxury+Exotic의 조어. 위즈멕에서 새로 런칭한 라인입니다. Luxotic BF(멕바텀)-NC(볼트가변)-MF(가변/바텀)-DF(가변바텀) 등 종잡을 수 없는 라인업과 디자인에 아무 이름이나 갖다 쳐 붙이다가 이번에 새로 가변 바텀인 Luxotic Surface를 출시했습니다.


사이즈 : 25*78*43.5mm

무게 : 배터리 미포함 119g / 배터리 포함 165g

스레드 : 510 스프링 로디드

배터리 : 싱글 18650

출력 : 1-80W

색상 : Honeycomb(리뷰 모델), Linear, Basketball, Unistar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8789_951.png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8760_2141.png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8700_9505.png
 

룩조틱 서피스의 외형이나 내부 구조 자체는 초기 룩조틱 라인인 BF와 매우 흡사합니다. 가변이기 때문에 칩셋이 자리할 공간을 위해 크기가 다소 커진 점(라봤자 몇 mm 정도)을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우선 공병이 완벽히 호환되며, 510 접점도 같은 부품을 사용한 것처럼 보입니다. 칩셋도 같은 위치에 있구요.


문제는 전작인 BF에서 굉장히 심각한 결함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 서피스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BF의 내부 기판을 뜯어보면 핀이 하나 있습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9369_7086.png

저 핀은 무화기를 체결하고 잠그거나 풀 때 아래의 부품이 무한정 돌아가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핀 위에 동그랗게 파여져 있는 부분이 보이시죠. 저기에 닿으면서 더 돌아가거나 풀리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그런데, 스퀑크 보틀과 무화기 사이-즉 액상이 지나가는 통로에 자리한 저 핀이 제대로 고정되어있지 않아, 스퀑킹을 위해 보틀을 눌렀을 때 압력으로 인해 핀이 뽑혀 나오는 일이 생겼습니다. 거기까지면 괜찮은데 문제는 방금 말씀드린 것처럼 저 곳이 액상이 지나가는 통로라는 것이죠. 그 주변에는 칩셋이 있구요. 이 때문에 오토 파이어나 기기의 완전 고장을 겪은 유저들이 많았고 위즈멕은 통수로 1승을 거두게 되었습니다. 


이를 간단한 자체 수리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있긴 합니다. 우선 액상 누수가 핀뿐만 아니라 510핀으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외경 6, 두께 1mm 사이즈의 오링으로 510핀 주변을 막아줍니다. 510핀 스프링이 지나치게 깊게 들어가 주변의 절연체가 누수 방지라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혹시 모를 액상의 내부 유입을 막아주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기판을 열어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로 핀을 고정시켜주면 이후의 사용에는 문제가 없게 됩니다. 하지만 이걸 왜때문에 사용자가 해야 하나요…. 위즈멕은 이슈 발생 이후에 개선 버전을 내놓거나 일체의 공식적인 해명조차 하지 않았고 그냥 '위즈멕'했습니다.



이런 통수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제가 왜 서피스를 구매했는지가 궁금하실 수도 있습니다. 저는 미니미 성애자이기 때문에 가변 바텀 중에서 가장 작은 사이즈의 룩조틱 서피스를 한 번 사용해보고 싶었습니다. 물론 미케니컬 바텀으로 눈을 돌리면 이보다 한참 작고 예쁜 것들을 선택할 수 있긴 하지만, 저는 미케니컬 모드를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배터리 잔량 확인의 어려움, 배터리 잔량에 따라 떨어지는 전압, 그리고 2019년에 통전 여부를 왜 신경 써야 하는지도 의문이었고 이는 바텀 피더 본연의 목적인 편리함과도 부합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거든요. 작은 크기 때문에 휴대성이야 좋겠지만 휴대성과 편리함은 별개이기도 하구요. 그렇다고 편리함이 밥 먹여주냐 하면 그것도 아니지만 어쨌든 제 마음입니다. 아무튼 대부분의 고가 바텀 피더를 포함하더라도 서피스는 가변 바텀 중에선 가장 작다고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물론 작은 크기를 위해 서피스에 몇 가지 꼼수가 들어가 있는데 상당히 작은 디스플레이를 채용했다는 점, USB 포트가 없다는 점입니다. 디스플레이 크기야 별 상관이 없지만 USB 포트의 유무는 조금 웃픈데, 먼지가 쉽게 유입되고 청소가 힘든 포트가 평소 모드를 사용하면서 거슬리긴 했지만 위즈멕사의 제품은 무조건 ArcticFox 커펌을 올려 사용하던 입장에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진 셈이기 때문입니다. 뭐 칩셋을 분리해서 어쩌고 저쩌고 해서 하면 할 수는 있겠지만 커찮아서 그러고 싶지는 않읍니다.


기능이나 조작법 같은 건 남들도 다 할 수 있는 얘기고 유튜브에 검색만 해도 나오니까 쓰지 않겠습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9848_187.png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9848_6363.png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9848_4189.png
 

본격적인 얘기 시작 전에 크기 얘기 나온 김에 펄섹스와 크기 비교도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펄섹스는 21700까지 호환이라 비교 자체가 목적은 아니고 많이들 사용하시니까 구매하기 전에 어느 정도로 크기가 차이나는가 하고 생각하실 수 있도록 찍은 겁니다. 펄섹스도 생각보다 작아서 좀 놀랐는데 이건 그냥 장난감 같아요.

아참 24mm까지 오버행 없습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7999925_8236.png

모드 구매 시 기본적으로 실리콘 재질의 공병이 두 개 포함되어 옵니다. RDTA 포함 풀셋을 샀을 때 공병이 더 오는지는 모르고 별로 알고 싶지도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디저트 / 과일 계열 나눠서 공병을 사용하게 되니까 두 개를 주는 건 좋습니다. 실리콘 공병은 사진처럼 위의 뚜껑이 열리긴 하는데 액상 주입시에 따로 열 필요 없이 그냥 액상을 넣고 바로 체결해도 됩니다. 처음 세척할 때나 분리했다가 그 뒤에 사용하실 때는 따로 열어줄 필요는 없어요.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041_0072.jpg

저는 따로 PC 공병을 구매해서 쓰기로 했습니다. 피코 스퀴즈=룩조틱 BF=Surface 공병이 호환되기 때문에 스퀴즈2 용 PC 공병을 구매했습니다. 잘 맞아요. 공병 사이즈는 18*40mm입니다.

PC 공병을 선택한 이유는 물론 저렴하기 때문도 있지만 일반 실리콘 보틀을 사용할 때 스퀑킹을 하면 하단 자석 도어가 들썩이는 현상 때문입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157_1863.png


자석 도어를 탈착해서 보틀을 삽입하는 방식인데 보틀 쪽에 자석이 없어서 쉽게 움직이는 것입니다. 도어의 자성이 강해서 스퀑킹하다가 떨어질 일은 없는데 그냥 거슬려서 모든지 파괴하고 싶은 기분이 들 것 같아서요. 뭐 깔맞춤은 덤이고 개인적으로는 실리콘보다 PC의 약간 저항감 있는 스퀑킹감이 더 좋은 것도 있습니다. 겉보기엔 엄청 딱딱할 것 같은데 그렇진 않습니다. 누를 때 손톱 등에 의해 기스가 쉽게 나지만 싸니까 괜찮습니다. 액상 잔량 확인이 실리콘에 비해 직관적이진 않지만 저는 줮같은 보라색 공병 버리고 그냥 룩딸할게요!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311_7159.png
 

파이어버튼은 적당히 클리키하고, +/-는 약간 뭉퉁한 느낌이 듭니다. 스크린이 조금 비뚤어져 보이는데 기분 탓이 아니라 진짜 조금 비뚤어진 겁니다. 싸니까 괜찮습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452_1566.png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451_8643.png
 

룩조틱 BF와 많은 점에서 흡사하기에 패널도 호환이 되지는 않을까 해서 구매할 때 BF 패널도 같이 구매해 봤는데, 다행히 호환되네요. 생각해보니까 BF 패널 체결한 사진을 이미 올렸군요. 기존 패널은 사진으로만 보다가 실물로 보니 생각보다는 더 거지같았습니다.


본체 사이즈는 차이가 나는데 패널 자체는 사이즈가 크게 차이나지 않아서, 정말 약간의 덜걱거림만 있을 뿐 일체감이 오지고 지려버립니다. 제가 어지간한 예민충이라 원래라면 이 정도 덜걱거림은 용서 못하는데, 원래 서피스에 쓰라고 나온 패널도 아닌데다 서피스 전용 패널 디자인이 워낙 개쓰레기 같았기 때문에 그걸 안 써도 된다는 빌어먹을 안도감이 더 크게 느껴져서 그냥 기분만 좋네요. 촉감 자체는 서피스 패널이 더 좋은데 디자인이 워낙 개쓰레기니까요.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624_6502.png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625_8375.png
 

하부 도어는 BF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도어는 기기 하단에 손톱을 넣어 쉽게 열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자성이 강하지만 체결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다만 기스에 상당히 취약합니다. 양면 구분 없이 체결이 되므로, 기스가 눈 뜨고 보기 어려울 정도가 됐다 싶으면 뒤집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자성이 강해서 실리콘 공병 사용시 조금 들뜨는 건 있는데 생각만큼 추하진 않더라구요.

세웠을 때 도어가 아니라 주변부 테두리가 바닥을 지탱합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717_1547.png
 

뒷면은 BF보다는 좀 낫네요. 더 이상의 추노마크는 Naver….



이제 BF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들이 서피스에서도 문제인가를 살펴 볼 차례입니다. 다음 버전이 나왔으니 개선했겠지 ㅋㅋ 라고 생각하는 건 위즈멕을 너무 얕보는 겁니다.


다시 정리하면 룩조틱 BF는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1) 스프링 방식의 510핀이 너무 유연해서 액상 누수가 생기거나 (2) 액상이 지나가는 통로의 핀이 스퀑킹 압력 때문에 분리되거나 (3) 둘 다 문제가 생기게 되면 칩이 뒤지거나 오토파이어때문에 사람이 뒤지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게 그것입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0798_3105.png

 

서피스의 510핀은 꾹꾹 눌렀을 때 '뭐지? 수동접접인가? 설마 위즈멕식 개꿀잼 몰카인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안 눌립니다. 무화기가 체결될 때의 압력만큼만 내려가서,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의도한 것 같습니다. 혹시 몰라서 오링을 사두긴 했는데 일단 따로 체결하지는 않고 사용할 예정입니다.



b3881957ac908ebda229a0d58db090f8_1558001004_5831.png

다음으로 기판 내부입니다. 제가 직접 찍은 것은 아니고 이탈리안 리뷰어의 영상에서 퍼왔습니다. 기판 나사가 T5 사이즈인 걸 모르고 무작정 다이소 가서 드라이버 사왔는데 T6까지밖에 없더라구요. 리뷰어에 따르면 핀은 확실히 고정되어 있으며, 하지만 무화기의 체결과 탈착으로 인해 계속 고정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뭐 결론은 BF에서의 비극은 서피스에선 기대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겁니다. 위즈멕이 정신을 차렸어…?
 


마지막으로 제가 느낀 장단점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장점


1. 저렴한 가격 : 저렴합니다. 신상 가변 바텀이 페텍 기준 39달러 정도만 꽤나 저렴한 축이라고 생각합니다. 같은 한 발/ 가변/ 바텀 속성의 펄섹스가 이보다 약간 비싼 점을 고려할 때 저렴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정보만 띄울 수 있는 점 : 저항, 볼트, 와트. 부차적인 것 필요 없이 필요한 기능만 보여주는 게 좋습니다. 파이어를 누르면 파이어 타임이 떴다가 버튼에서 손을 떼면 사라집니다.

3. 프리힛 기능도 있어요 : 물론 저는 안 쓰지만 없는 것보단 낫죠

4. 와트를 조절할 때 20W까지는 .1 단위로 조절 가능하지만 20W 이상은 1W 단위로만 조절 : ​물론 입호흡 와트 범위인 ~20W에서도 0.1 단위의 와트가 큰 영향은 없긴 하지만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5. 빠른 반응 속도 : 우선 ON/OFF가 깜짝 놀랄 정도로 빠른데 다섯번 누르면 그냥 바로 켜지고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건 진짜 놀라울 정도였어요. 가령 펄섹스의 경우 전원을 켜면 로고부터 띄우면서 몇 초 정도의 대기시간이 있는데 너무 커찮아서 그냥 락 온오프로 사용했었거든요. 근데 이렇게 할 경우 가끔 에러가 나서 배터리를 재탈착해야 정상 작동하는 상황이 생겨서… 좀 커찮아도 그냥 전원을 켜고 끄면서 사용했었습니다. 근데 서피스는 그게 아니어서 정말 마음에 듭니다.

위즈멕답지 않게 파이어링 속도도 빠릅니다. 같은 계열의 칩을 쓰는 위즈멕, 조예테크, 이리프 기기를 사용하면서 파이어를 눌러도 항상 0.X초 정도의 딜레이가 걸리거나 불안정한 출력이라는 느낌을 받은 적이 많은데 상자에 업그레이디드 칩! 이라고 적어놓은 게 그냥 홍보용 헛소리가 아니더라구요.

6. 정확한 저항 측정 : 저항을 따로 재측정하는 기능은 없고 무화기 체결 시 측정하는 방식인데 이 방식이 접점이 제대로 닿지 않았을 때 기기가 저항을 측정해버리면 실제 의도한 것과 다른 저항이 측정될 수 있어서 애로가 생기기 쉽습니다. 그런데 서피스의 경우 저항 측정 역시 정확합니다. 무화기 센터핀이 닿았을 때 바로 측정하는 게 아니라, 완전히 모드에 체결될 때 쯤 저항을 측정하더라구요. 전원을 껐다 켜도 저항이 재측정되지는 않아서 핫스팟을 잡고 사용하는 특수코일 등의 경우에는 무화기를 풀었다 체결해야 해서 다소 불편하겠지만, 저항 측정 자체가 정확한 것은 정말 좋은 일입니다.

7. 보틀 체결 방식 : ​이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부분인데 공병을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고정하는 게 세척이나 청결 관리에 다소 불편한 점은 있어도 크게 불편하지도 않고, 그보다 이득이 더 많아서 좋습니다. 공병 체결 시 액상이 흘러 넘치거나 할 우려도 없고 기기 내부 공간을 엄청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또한 간혹 공병을 분리했을 때 액상이 뚝뚝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서피스의 경우 호스 역할을 하는 스테인레스 호스가 아래가 아니라 좌우로 구멍이 뚫린 형식이라 그럴 우려도 없었습니다.

8. 크기 : 작아요. 진짜 작아요. 한발 가변 바텀에서 이 정도 크기는 혁신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점

이라기보다는 아쉬운 점이라고 하는 게 맞겠습니다.


1. 커스텀 펌웨어 불가능 : ​USB 포트의 부재로 Arctic Fox 커펌을 올릴 수 없다는 점은 아쉬운데 생각보다 기본 소프트웨어가 괜찮아서 굳이 없어도 될 것 같아요. USB 포트가 없는 것 자체는 단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 키 락 기능 : 이것도 사실 큰 문제는 아니고 개인적으로 키 락은 파이어 버튼까지 포함하는 잠금이라고 생각하는데 펑션만 잠겨서 아쉬운 점에 넣었습니다. 

3. 기기 자체의 발열 : 하단에 벤팅홀이 있음에도 몇 번 베이핑을 하면 기기가 쉽게 뜨끈뜨끈해져요. 사용자와 사용량에 따른 차이도 있을 거고, 재질 때문일수도 있고 구조의 문제일수도 있겠지만, 제 기준에서 같은 사용량에 비해 서피스의 발열이 유독 더 뜨겁게 느껴졌습니다. 발열로 인한 칩의 손상이 우려될만큼 뜨거운 정도는 아닙니다.

4. X같은 패널 디자인 : X같은 패널 디자인.




총평

​제 눈으로 기판 내부를 직접 확인한 게 아니긴 한데 해외 포럼이나 몇 유튜브 영상에서 BF에서 문제가 되었던 부분들이 해결되었다고 말하기도 하고, 크기도 상당히 작은데다, 성능까지 준수합니다. 극혐 브랜딩도 작게 넣어주었구요. 제가 발견하지 못한 특별한 문제점이 더 있지 않은 이상 감히 펄섹스보다 더 우월한 기기라고 평가하고 싶네요. 항상 통수만 치던 위즈멕이었기에 이번 서피스는 여러 모로 놀랍습니다. 

추천 6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6

리뷰게시판 목록

전체 14,986건 470 페이지
리뷰게시판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5137 벤데믹님 액상 나눔당첨! 빈자이 포도맛(Binjai Grapest) 댓글+1 첨부파일 그랬었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889  1
5136 리뷰에 맞들린... 입호흡 끝판왕 월탱크 리뷰입니다! 댓글+42 인기글첨부파일 대전도있는용두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13228  8
5135 라온베이프 액상나눔 후기(야구르트) 댓글+1 첨부파일 깡깡수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665  0
5134 자자자 가주아 뒤늦은 기어rta 리뷰! 댓글+20 인기글첨부파일 대전도있는용두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10  4
5133 빈자이 그레이피스트 Binjai juice GRAPEST 리뷰 첨부파일 집시라이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810  1
5132 메쉬프로탱크 후기 입니다! 댓글+17 인기글 김장겉절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1802  0
5131 이번에도돌아온 위도우메이커 리뷰! 댓글+41 인기글첨부파일 대전도있는용두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3968  2
5130 가지고 있는 액상들 후기 댓글+1 인기글 말뚝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608  0
5129 하이네 열대우림, 아이스 레몬, 망사, 알로에 베라 후기 댓글+3 인기글 베럭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990  1
5128 전린이의 입호읍기기 (csv)리뷰 댓글+1 인기글 올랭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678  2
열람중 Luxotic Surface by Wismec. 감상평. 댓글+6 인기글첨부파일 고양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469  6
5126 (액상 기기) 제로 , 아데모 리뷰입니다 댓글+10 인기글첨부파일 배송중중중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781  0
5125 덩달아 올려보는 AVP 사용후기 댓글+3 인기글첨부파일 젬제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3083  0
5124 Haku Venna by SXK. 감상평. 댓글+11 인기글첨부파일 고양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690  9
5123 라온베이프 4주년 기념 아이스 야쿠르트 나눔 후기! 댓글+9 첨부파일 그랑크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952  0
5122 베이식스 블루베리케이크액상 댓글+6 인기글첨부파일 도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408  0
5121 칼리번 사용후기 (단점이 아쉽습니다..) 댓글+29 인기글첨부파일 베이퍼13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8658  2
5120 브로스 아데모 리뷰입니다.(q14, 코스모킷) 댓글+2 인기글첨부파일 핑크하이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5 2049  0
5119 이 액상 대존맛입니다! 댓글+19 인기글첨부파일 베이퍼13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5 2334  2
5118 (액상리뷰) 메두사 잭팟 댓글+1 인기글첨부파일 상어아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5 1531  0
5117 (액상리뷰)기성코일로 먹는 브로스 리뷰 댓글+2 인기글첨부파일 배송중중중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533  5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