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atteo입니다.
이번엔 헬베이프사의 시리(SERI) RDA를 리뷰하겠습니다.
**본 리뷰는 업체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PC환경에 최적화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잘 보이지 않으시는 경우 [원본 리뷰 링크]를 통해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녀석은 아주 재밌는 녀석이예요.
SERI RDA는 DL(폐호흡용) RDA 무화기입니다.
<이미지 출처 - HELLVAPE 공식홈페이지>
일반적인 무화기가 듀얼이든 트리플이든 코일이 병렬로 연결되어서
코일의 숫자가 늘어나면 그만큼 전체 저항값은 낮아져서 고출력을 올려줘야 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근데 이녀석은 코일을 직렬방식의 포스트로 되어 있어서 코일의 숫자가 늘어나면 전체 저항값이 오히려 올라가는 구조를 갖고 있어요.
새롭고 독특한 방식의 RDA네요.
저항값의 계산은 아래 사진(출처-헬베이프 공식홈)처럼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 HELLVAPE 공식홈페이지>
상자는 회색빛의 종이상자로 되어 있네요.
박스를 열면 일단 무화기와 구성품이 담긴 작은 박스가 있어요.
색상은 총 5종으로 나왔는데 제가 받은 색상은 다행히도 S.S!!
<이미지 출처 - HELLVAPE 공식홈페이지>
[ 구성품 ]
- SERI RDA 무화기 1EA
- 프리빌트 Ni80 Coil 0.2옴 3EA
- 신발끈형 코튼 3EA
- 코일 커팅 가이드 툴 1EA
- 쇼트방지 커넥터 2EA
- 여분 오링 세트
- 여분 나사 3EA
- 일자 드라이버 1EA
- 전용 육각렌치 1EA
- 바텀피더핀 1EA
- 유저매뉴얼
한글설명서는 아쉽게도 없습니다.
본체의 구조도와 세부 사진을 보고 잠시 설명드리자면 겉모습은 일반적인 폐호흡용 RDA의 구조에
탑캡에 달린 에어플로우 조절부(사선방식)와 바디캡(허니콤방식의 에어홀)의 AFC홀의 위치를 맞추어서 에어홀을 조절하게 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탑캡과 바디의 결합은 노치방식으로 결합되어서 에어홀을 조절하게 되어 있구요.
에어홀의 위치는 본체의 옆구리에 180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HELLVAPE 공식홈페이지>
파츠는 그리 많은 편은 아닙니다.
사이즈 스펙은 아래를 참고하시구요.
직경이 26mm라서 조금 큰 편입니다.
<이미지 출처 - HELLVAPE 공식홈페이지>
덱을 한번 볼까요.
이 녀석의 특징은 바로 이 베이스덱에 있어요.
총 6개의 빌드포스트가 보이실겁니다.
초반부에 설명드린 저항값을 계산하는 사진을 참고하시면 빌드하실 코일의 위치가 설명이 될겁니다.
트리플 빌드 일때는 포스트 모두 사용하시면 되고
듀얼로 빌드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사진처럼 가운데의 포스트 부분에 쇼트방지 커넥터를 꼽아 빌드하시면 됩니다.
이때 일반적인 병렬형 RDA인 경우 그냥 코일을 안꼽고 쓰시면 되지만
이 녀석은 직렬구조라서 듀얼빌드시 커넥터를 사용하시지 않으면 파이어 자체가 안되니 잊지 마시구요.
<이미지 출처 - HELLVAPE 공식홈페이지>
액상저장 공간도 높이가 6mm정도라고 하니 넉넉한 정도네요.
<이미지 출처 - HELLVAPE 공식홈페이지>
대충 구조는 이 정도로 설명드리고 빌드하면서 추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빌드 ]
포스트의 나사의 위치는 3방향 모두 다릅니다.
하나씩 빌드하시면 되겠죠.
코일은 Ni80 0.2옴 3개가 동봉되어 있습니다.
박스의 뒷면에는 Ni90로 표시되어 있는데 공홈을 찾아보니 Ni80로 되어 있고 저항값으로 보아서 Ni80이 맞는 것으로 보이네요.
박스에 오류표기가 아닌가 싶어요.
코일 커팅 가이드툴에 꼽아서 커팅.
각 포스트에 코일을 위치해 주고 나사로 조여줍니다.
핫스팟을 잡고
위킹을 해주고
액상을 솜위에 적셔주고 솜향 날리기
동봉된 코일을 가이드툴대로 코일을 잘라주고 사용하니까 총 0.72옴이 나오네요.
듀얼로 세팅했을때는 0.46옴.
듀얼시는 아래사진처럼 쇼트방지 커넥터를 사용하셔서 아래사진처럼 빌드하시면 됩니다.
바디캡과 탑캡, 드립팁을 결합해주고 베이핑하시면 끝.
[ 특이점 ]
1. 직렬 코일 방식
예전에 양형들 사이에서 스택빌드가 유행을 한 적이 있었죠.
국내에서도 스택멕을 사용하셔서 쓰시던 유저들이 있었습니다.
베이핑 리뷰어 디셉트님의 리뷰처럼 스택빌드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구조를 가졌습니다.
메카니컬 모드가 아닌 가변 모드에서 스택모드처럼 즐기시기는 재미를 느낄 수 있어서 참신했습니다.
2. 트리플 덱
트리플 덱을 커넥터를 이용해서 듀얼로도 사용가능 한 점.
하지만 커넥터를 분실한다면? 계속 트리플 빌드만 사용가능하겠군요.
3. 꽤 넉넉한 액상 저장부
6mm의 높이의 저장부는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정도.
4. 출력조절
스택빌드의 방식이라면 고출력을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제조사의 설명으로는 200w의 출력을 권장하더군요.
하지만 사용해 본 경험으로는 트리플 빌드기준 100~120w(최대로 한다면 150w)정도만으로도 충분한 무화량과 맛을 내어 줬습니다.
대략 설명은 여기까지하고 장단점 적겠습니다.
[ 장점 ]
- 엄청한 무화량
트리플 빌드를 사용하는 무화기인 만큼 아주 어마무시한 무화량을 자랑합니다.
- 난이도 쉬운 빌드
커팅툴을 이용한 빌드와 빌드덱의 구조는 초보자분들도 빌드하시기 쉽게 제작되었네요.
- 진한 맛표현
듀얼빌드에선 "나쁘진 않네?"였지만 트리플빌드는 "오! 맛있네!"였습니다.
- 적당한 에어플로우 조절
탑캡과 미들캡의 에어조절부는 적당한 에어플로우를 제공해주더군요.
- 사용하기 좋은 코일가이드툴
코일커팅할때 다리길이를 조절하시기 어려운 분들께 제공되는 가이드툴은 아주 좋죠.
[단점 및 아쉬운 점]
- 발열
트리플 코일에 고저항 고출력을 사용하는 만큼 발열이 있습니다.
제조사 권장 출력은 200w인데 실제로 200w사용시 발열이 꽤나 있습니다.
제 개인적 사용경험으로는 최대 150w이하로 사용하니 발열은 어느정도 해소되었습니다.
두발 모드기를 기준으로 100~120w정도만 사용하셔도 풍부한 무화량과 맛표현을 즐기실 수 있으리라 생각되네요.
- 높은 쿨링감
무화량이 많아서 쿨링감 또한 높게 느껴집니다.
이건 쿨링감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좋아하실 수도 있겠지만 동급 RDA대비 쿨링감은 아주 높게 뽑아주는 무화기였습니다.
슈퍼쿨같은 액상은 아마 목이 찢어질 수도 있어요.
개인적으로는 너무 높은 쿨링감은 꺼리는 관계로 아쉬운 점으로 포함시키겠습니다.
정리해보면
"어마무시한 무화량을 가진 실험적인 직렬 방식의 폐호흡 RDA, 고저항 고출력의 매력을 느껴보시고 싶은 분들께 추천"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모든 리뷰는 항상 개인의 차이가 있습니다. 구매는 여러 사람의 리뷰를 참고하시고 결정하시길 바랄께요. ^^"
#시리RDA #SERIRDA #시리 #SERI #RDA #Hellvape #헬베이프 #DL #폐호흡기기 #폐호흡무화기 #폐호흡무화기추천 #전자담배액상 #전자담배 #vape #vaping #vapor #전자담배리뷰 #전담리뷰 #Matteo #마테오 #Matteo&Ri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