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일면적과 맛,무화량 비례하는지요?
본문
단일칸탈24게이지6바퀴 싱글 0.6옴 3미리
단일칸탈24게이지3바퀴 싱글 0.3옴 3미리
제가 배운지식으로는
낮은옴일수록 고와트로 쓰기때문에
무화량이 증가한다,코일면적이 작고 솜이 많아서
에어홀로 들어오는 공기가 코일보다 솜을 때리니
맛이 연하거나 수증기를 뱉는것이다
또다른배움으로
코일면적이 좌우 넓을수록 내경안에 많은 솜을 기화시키니
무화량 증가한다,코일 내경안에 많은 솜을 기화시키기는하나
상대적으로 낮은 와트를 사용하기때문에
맛이 안생긴다.
라는데
잘못배운거면 바로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단일칸탈24게이지3바퀴 싱글 0.3옴 3미리
제가 배운지식으로는
낮은옴일수록 고와트로 쓰기때문에
무화량이 증가한다,코일면적이 작고 솜이 많아서
에어홀로 들어오는 공기가 코일보다 솜을 때리니
맛이 연하거나 수증기를 뱉는것이다
또다른배움으로
코일면적이 좌우 넓을수록 내경안에 많은 솜을 기화시키니
무화량 증가한다,코일 내경안에 많은 솜을 기화시키기는하나
상대적으로 낮은 와트를 사용하기때문에
맛이 안생긴다.
라는데
잘못배운거면 바로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천 1
댓글 13건
segakun님의 댓글

|
무화량은 생각보다 복잡해요.
단순히 위와 같다면 6바퀴 쪽이 무화량이 더 많아요. 그런데 몇 와트로 지지느냐 그리고 솜이 어떻게 코일과 닿아 있느냐 + 코일과 닿은 부분의 연무가 어떤식으로 올라오느냐. 이게 무화기마다 다르고 빌드마다 달라서 조금 연구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3.7-4.2v가 가장 권장되는 와트라고 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그런 건 무시해 버립니다. 단순 무화로 하면... 24게이지 7바퀴 100w 24게이지 6바퀴 100w 로 쏘면 위쪽이 당연히 더 많이 나옵니다. 다만 일반적인 식으로 7바퀴 0.25 / 3.7v, 6바퀴 0.15 / 3.7v로 놓으면 후자가 더 무화량이 많을 수도 있어요. |
segakun님의 댓글

|
그리고 너무 높은 와트로 쏴줘도 맛이 뭉개지는 경향이 있어요.
낮다 = 맛이 안올라온다 높다 = 맛이 뭉개진다 그래서 권장 와트가 있어요. |
benew님의 댓글

|
@segakun역시 클라우드 체이서...! 이분에게 만큼은 무화량은 절대적으로 믿으시면 됩니다 작성자님 |
세화님의 댓글

|
개인적으로 간단하게 중요한거는 무화기마다 에어플로우쪽에 코일을 어떻게 위치하냐가 맛표현에서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에어홀로 들어온 공기가 코일이 아님 솜을 때려서 맛이 연하다라하셨는데. 솜을 때려서 맛이 연하다라는 말은 저는 처음 듣는 이야기구요. 코일면적이 좌우가 넓다라는 말씀은 바퀴수가 많이 감긴 코일을 말씀하시는건가요?.(페러럴5바퀴 등등) 이런 코일은 옴이 낮아서 3.7~4.1 볼트쯤 베이핑할려면 자연스레 고와트로 베이핑을 하게됩니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낮은와트를 사용하기에 맛이 안생긴다라고 하셨어요. 누가 그렇게 이상하게 알려주셨나요 |
부산신세계님의 댓글

![]() |
@세화그러면 단일칸탈24게이지 6바퀴 보다 면적이큰 4바퀴특수코일이 공기와 많이 붙이쳐서 맛이 좋은게 아니였어여?
다들 긱베이프특수코일 쓰길래 저게 맛이 좋구나해서요.. 예로보면 고지 이게 에어홀보면 특수코일쓰지않는이상 구멍보면 코일은커녕 솜이 더많이 보이는데 당연히 맛이 연하다,밍밍하다 이렇지않나요? |
부산신세계님의 댓글

![]() |
@segakun제가 이해못하는것이 예를들어 군1.5같은 에어홀구멍이 큰
무화기들있잖아요. 24로 6바퀴듀얼로 셋팅시 에어홀구멍위치에 맞게 위치잡고 구멍사이로 보면은 코일좌우가 에어홀구멍보다 작아서 저희가 흡입할때 구멍크기의 공기크기가 코일 전체를 다 못때리고 솜도 같이 때리니까 4바퀴특수코일보다 상대적으로 맛이 연하다던지 공기먹는것같다 이렇지않나여? 그래서 다들 24로 그냥 쓰지않고 패러렐방식으로 쓰잖아요. |
부산신세계님의 댓글

![]() |
@부산신세계즉. 히팅면적이라고하잖아여? 단일24게이지 6바퀴보다
단일24게이지 패러렐 12바퀴가 더 진하고 무화량 증가한다 제가 의구심드는것이 이부분입니다. 니크롬특수코일이 다들쓰시는이유가 램프업,식는속도라고 하지만! 여기에 추가로 히팅면적이 커서 사용하는것이라고 생각해서요 |
segakun님의 댓글

|
@부산신세계그건 에어홀이랑 상관없어요.
들어오는 에어홀은 어디까진 흡입압과 무화의 진함이고 중요한건 연무가 일어난 후 어떻게 빠져나오느냐 입니다. 솜의 절대적 양이 중요한게 아니라 솜과 닿은 부분의 연무가 어떻게 빠져나오느냐가 중요해요. |
Will님의 댓글

|
@부산신세계맛은 에어홀로 들어오는 공기가 어디를 때려주느냐(약간 코일밑)와
코일에 액상이 얼마나 마니 묻어 있어서 한번에 기화시키느냐(특수코일은 액상을 마니 머금을수 있죠) 그리고 몇 와트로 지지느냐?(램프업이 느리면 액상의 기화속도가 느려 연해 지겠죠? 솜의 양과 어떤 솜이냐도 관여 할겁니다. 어떤 코일이냐에 따라 조금씩 틀려질겁니다! |
부산신세계님의 댓글

![]() |
@Will어떤코일이라는건 와이어 회사차이말씀인가여? |
세화님의 댓글

|
@부산신세계말씀하신 페러럴4바퀴가 단일칸탈 6바퀴보다이 파이어시 액상을 기화시키는 양이 많으니,
느끼는 액상의 맛이 진하게(?)풍부하게(?) 느껴진다라고 생각하시면될거예요. 공기가 코일에 많이 닿일수록 맛이 좋은건 아니예요. 고지를 예로드셨는데, 고지를 써보지 않아서청확하게 말씀못드리지만, 에어홀을 봤을때 코일보다 솜이 더 많이 보이는거는 리빌드시 코일이 제대로 위치하지 않아서 그럴거예요. 보통 리빌드시 무화기 에어홀에 가깝게 코일을 위치시키거든요. |
세화님의 댓글

|
@부산신세계단일칸탈.페러럴.퓨즈드클랩튼.스테거튼 등등을 말씀하시는거일거예요 |
부산신세계님의 댓글

![]() |
@세화그니까 솜을 기화시키는 코일면적이 넓을수록
맛이 진하고 무화량이 좋은거잖아여 그러면 단일칸탈24로 쓰는것보다 패러렐 또는 니크롬특수코일 쓰는것이 액상 본연의맛,향,무화량 세가지를 다잡는것 아닌가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