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프로133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본문
제가 쫄보중에서도 쫄보스라...
디프로133도 메케니컬이라고 들었는데요
이것도 입문자가 쓰기에 위험한건가요?
지금까진 비치노 같은거나 드래그만 써봐서
좀 두렵기도 한데 순전히 진짜 디자인 하나만 보고 뽐뿌가 오네요 ㅠㅠ
저같은 경우엔 드랍rda에 칸탈 24게이지 페러럴 빌드 해서
0.14옴 정도 셋팅해서 쓰는데...디프로에 사용해도 문제는 없을까요?
그리고 같은 두발이지만 병렬식이라고 하던데...병렬식은 배터리가 오래 못가나요?
디프로133도 메케니컬이라고 들었는데요
이것도 입문자가 쓰기에 위험한건가요?
지금까진 비치노 같은거나 드래그만 써봐서
좀 두렵기도 한데 순전히 진짜 디자인 하나만 보고 뽐뿌가 오네요 ㅠㅠ
저같은 경우엔 드랍rda에 칸탈 24게이지 페러럴 빌드 해서
0.14옴 정도 셋팅해서 쓰는데...디프로에 사용해도 문제는 없을까요?
그리고 같은 두발이지만 병렬식이라고 하던데...병렬식은 배터리가 오래 못가나요?
추천 0
댓글 4건
범고래삼촌님의 댓글

|
병렬은 직렬에 비해 배터리를 쥐어짜는 수준일 겁니다. |
Will님의 댓글

|
이건 가변도 멕도 아닌 기기 입니다.
온 오프와 숏트 방지기능이 있어 멕 보다는 좀더 안전한 기기 이며 0.08옴까지 사용가능하다고 인터넷에서 찾아봤습니다. 한발보다는 오래 사용가능하지만 직열 보다는 이라는 물음에는 글쎄요? 비슷 할겁니다. 최대 병렬은 3.6v. 직렬은 7.2v 가능합니다만 안정적으로만 쓰세요. |
껌키님의 댓글

|
병렬이 배터리가 오래가지않나요 용량과 암페어가 두배가되니까요 직렬은 파워가쎄지지만 병렬은 양이늘어나는개념이라고알고있어요 20a짜리 배터리를 병렬로 끼면 40a가되기때문에 0.14옴도 가능하구요
제가 알기로는 직렬보다 배터리용량도 두배가되기때문에 오래가는걸로알고있습니다. |
Will님의 댓글

|
@껌키직렬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주로 고 와트로 지져 대서 그렇지 병렬오 같은 와트로 지지면 별 차이 않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로 마니 토론 하시는 글을 봤었고. 노이지 크리켓 ll2.5 로 병렬과 직열을 사용해 봤지만 충전 해야하는 시간이 비슷 하더군요.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여력은 없어 확답은 드리지 못하지만 실 사용에서는 큰차이가 없다고 알아요. 어릴때 학교에서 배운 것에 꼬마 전구는 병렬이 오래 간다! 가 맞고. 베이퍼의 와트를 올려서 지지면 별 차이 없다가 저의 생각 입니다. 아닐수도 있어요. ㅎㅎ 그냥 개인의 생각 이고 경험 이라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