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일 관련 문의입니다.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코일 관련 문의입니다.

페이지 정보

맨큐경재학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09.162) 작성일 님이 2018년 12월 12일 20시 23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915 읽음

본문

코일에 관련해서 궁금한 사항이 너무 많아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폐호흡 무화기, 한발 가변기 사용중입니다!


---------------------------------------------------------------------------


1. 옴이랑 와트 무슨관계인지 궁금합니다.

옴=저항값

와트=전류


저항값이 낮으면 전류가 더 잘 흐르기 때문에 더 낮은 와트로도 출력이나 무화량이 더 많아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 제일 궁금한 내용입니다.


0.2옴 트리플 코일, 0.4옴 원통코일 두가지를 써 봤는데

 0.2옴 트리플은 적정 전류가 50w~130w라고 써져있더라구요

그리고 0.4옴 원통코일은 적정 전류가 30-70이라고 써져있었구요


0.4옴 코일을 쓸 때에는 45와트정도로 놓고 베이핑하니까 딱 적당한것 같았습니다.

 

0.2옴 트리플 코일을 쓸 때에는 적정 전류에 따라서 65와트에 놓고 썼는데

이게 무화기쪽 발열이 너무 심해서 연초 한대 피는 정도도 못 버티더라구요?... 적정 전류까지 올리지도 않았는데....


문제가 뭘까요?...


------------------------------------------------------------------------------


2. 발열문제입니다.

저항값이 더 낮은게 발열도 더 잘 나는거겠죠?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0.2옴 코일 쓸 때는 너무 발열이 심해서 못쓰겠더라구요..후...


무화기는 베이프레소 캐스케이드 베이비 사용중입니다!


------------------------------------------------------------------------------


3. 저에게 알맞는 코일

제가 베이핑 하는 주된 목적은 맛 표현을 느끼기 보다는 무화량이 많은 것을 선호합니다. 가변기는 최대출력이 200w까지 나오는데

이 와트값 내에서 무화기와 가변기에 제일 적당한 코일이 뭘까요... 무화기를 바꿔야할까요?!... 팔콘탱크로도 흡입을 해봤는데 저랑은

맞지 않는것 같고... 캐스케이드가 드립팁도 적당하고 흡압도 적당해서 좋은데 코일을 어떤걸 선택해야할지 항상 고민입니다.


수명은 2주정도에, 무화량 많고, 맛표현도 어느정도 적당한 그런 코일 너무 욕심일까요?...

코일에 적힌 옴이랑 와트값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저에게 맞는 코일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7

검안님의 댓글

검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6.179)
회원아이콘 장문으로 설명하다가 댓글이 초기화돼서 현타왔네요. 간단히만 답변해드리자면,

1. 와트는 전력에너지입니다. 전력에너지 = 전압 × 전류
가독성을 위해 식을 고쳐쓰면, 저항 × 전력에너지 = 전압 × 전압 이 됩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같은 전압이 인가될 때, 저항이 낮을수록 전력에너지가 증가합니다. 무화량은 전력에너지에 영향을 받습니다. 1초에 보다 더 많은 에너지로 액상을 얼마나 더 많이 기화시키느냐에 달려있으니까요. 따라서 무화량은 코일의 저항값에 반비례하고  인가전압값에 비례하는 것이죠. 우리가 사용하는 배터리는 전압최대치가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항을 낮츨수록 그만큼 무화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입니다.사용하신 코일의 저항과 정격 와트값을 이용해서 권장 볼트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마 둘다 3V~5V 사이일텐데 이는 말씀드린대로 같은 인가전압을 가지더라도 저항이 낮다면 전력에너지는 커지기 때문에 정격와트값에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발열에 있어서는 무화기의 성능에 따른 것이기에 사용해보지 않은 저로썬 확답은 못드리겠습니다만, 에어홀을 끝까지 열고 폐호흡으로 강하게 베이핑 하시면 코일에 유입되는 공기량이 많아져 보다 발열을 쉽게 잡을 수 있을겁니다. 물론 여기서도 저옴일때 와트값이 커지므로 증가한 무화량에 따른 폐의 적응도 고려하셔야합니다.

검안님의 댓글

검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6.179)
회원아이콘 2. 발열은 저항과 전하가 부딪힐 때 납니다. 그래서 원리적으로는 저항이 클수록 발열이 크지만, 여기서는 무의미합니다.
숨을 더 크게 들이쉬는 습관을 들이세요.

저같은 경우 0.2옴에 75와트, 0.15옴에 80와트를 썼습니다. 발열 없었구요.

검안님의 댓글

검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6.179)
회원아이콘 3. 무화기에 코일이 호환된다면 Qf 스트립 코일 추천합니다.
기성코일중에 수명이 가장 길고 에어플로우를 역학적으로 설계해놔서 맛표현도 우수합니다.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345건 4905 페이지
질문답변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91361 묠니르랑 파라독스 rda 써보신분? 유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553  0
91360 rda 사진 지적부탁드려요..! 댓글+8 첨부파일 초보입문베이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641  0
91359 출력?질문드립니다 댓글+2 문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60  0
91358 트게 질문.. 댓글+4 탄맛전도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85  0
91357 혹시 이기기 이름 아시는분? 댓글+2 첨부파일 디셉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592  0
91356 여려분 이히칩 온도조절모드!! 첨부파일 Ugi97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619  0
91355 스웨그킷 질문 댓글+1 보루찡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615  0
91354 비아240 개쓰레기네요진짜 댓글+7 인기글첨부파일 구창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1977  0
91353 버서커 mtl rta 블랙색상 국내에서 구할수 없는걸까요? 댓글+4 첨부파일 밈홍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552  0
열람중 코일 관련 문의입니다. 댓글+7 맨큐경재학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916  0
91351 미국액상 직구 배대지 아르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667  0
91350 횽님들 잽쥬스 질문좀용 ㅎ 댓글+4 첨부파일 LSM1113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483  0
91349 돔3가 왔는데... 댓글+2 첨부파일 존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499  0
91348 가변기기 평균 수명이 어떻게되나요? 댓글+2 꽃비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605  0
91347 과일액상에 어울리는 rda는 어떤게있나요? 댓글+2 명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782  0
91346 직구 액상 문의드려요. 댓글+4 대구고기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453  0
91345 김장액상 질문드려욥 골덴크롭바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469  0
91344 르하이퍼소닉 클론 사려는데 댓글+3 내루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614  0
91343 닷스퀑크 배터리 효율 최적 rda는 멀까요? 댓글+5 모젠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600  0
91342 코일이 액상맛을 좌지우지 하나요 ? 댓글+5 GCLASSLUXRURYGOLD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724  0
91341 닷모드75에서 댓글+4 닷린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493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