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모드 질문입니다
본문
1. 통전 향상을 위해서는
배터리가 맞닿는곳만 하면 되는건가요?
유튜버들은 몸체 외부까지 하던데.. 미관상의 이유겠죠?
1.5 관리를 소홀히하면 어떻게 되나요??
2. 배터리가 다 닳은줄 모르고 파이어를 계속 하게 되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3. 자는동안 폭풍누수가 나게되어 배터리까지 액상이 닿는다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4. 저는 0.6~0.8 저항만 사용하는데 맥은 0.3이 베스트인가요?
0.6~0.8옴을 쓰게되면 어떤일이 생기나요?
핑거프린세스 죄송해요..
질문글은 작성해 두었지만 계속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ㅎㅎ
추천 0
댓글 7건
진성입홉러님의 댓글

![]() |
1. 배터리 접촉부, 부품별 접촉부 만 해주시면 성능상 문제 없고, 외관은 미관상 이유입니다.
1.5 출력이 약해지죠 2. 배터리셀 수명이 저하됩니다. 3. 어떻게 될까요..? 4. 배터리가 오래가고 저항 직렬연결시 전압 분배에 의해 코일에 가해지는 전압이 높아집니다만, 전류가 줄기 때문에 출력은 .3옴때보다 낮겠죠 |
어려워잉님의 댓글

|
@진성입홉러3번 궁금하네요 ㅜㅜ 역시 터지겠죠..?
바텀맥에 엔티rda 올려쓰고싶은데 너무 쫄보입니다.. ㅋㅋㅋ |
진성입홉러님의 댓글

![]() |
@어려워잉기본적으로 액상은 전기가 '잘'통하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
액상을 뚫는것 보다 코일을 통해 전류가 통하는게 저항이 작으니 액상으로 코일이 완전 잠겨도 저항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거거든요. 터진다기 보단 수습과정이 위험해보이네요. |
Aehobakk님의 댓글

|
하이브리드든 보로든 박스형이든 액상 침수로 당장 폭발한다거나 하진않습니다. 우리 베이퍼분들 위킹을 아무리잘해도 가끔 겪는게 누수인데 단순 누수가 직접적인 사고원인은 못되죠. 하지만 당연히 오토파이어링 유도, 배터리안전 등 간접적인 원인을 제공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
Aehobakk님의 댓글

|
@Aehobakk통전부는 은소재나 은도금일 경우는 폴리싱까진 필요치 않구요. 브라스나 코퍼소재라면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어려워잉님의 댓글

|
@Aehobakk사랑합니다.. 도움이 됐습니다 |
어려워잉님의 댓글

|
@진성입홉러생각보다 폭탄은 아니네요.. ㅎㅎㅎ
선입견이 제대로 박혀서 ㅜㅜㅜㅜ 이쁘고 가지고싶은데 무섭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