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도금 맥모드 관리법
본문
혹시 은도금으로 된 맥모드는 어떤식으로 관리 해줘야될까요? 접점부쪽 부분하고 몸통쪽 어떤식으로 해야되는지를 모르겠습니다..폴리싱하게되면 은 도금이 벗겨진다고 하시기도 하구요...그리고 맥모드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극 튀어나온정도 같은것)배터리는 어떤건지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추천 0
댓글 8건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은도금이 된 부분은 정확히 어디인가요?
보통, 은도금이 되었다고 하면 파이어 버튼, 접점부 쪽입니다. 은도금은...폴리싱 같은 것을 사실상, 절대적으로 피해야 합니다. (치약도 연마제 성분이 있어서 비추입니다) 어쩔 수 없다...싶을 정도로 심하게 변색이 된 상태라면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 예외가 아니고 일상적, 주기적 관리에서는 중성세제에 담갔다가, 후에 초음파세척, 마무리로 물기제거 순을 추천 드립니다. 멕 배터리는, 18650이라면 25A 2500mAh 스펙(추천 VTC5A) 21700이라면 35A 3000mAh 스펙(추천 삼성 30T) 정도입니다. 만약 입홉을 하신다면...30Q로도 충분합니다. |
Planic님의 댓글

![]() |
@분별하는탐몸통부분이 도금이 돼어있는것 같습니다 몸통은 세제에 담궜다 빼는 정도로 마무리하고 접점부 부분은 어떤식으로 진행하면 좋을지도 좀 부탁드려도 되려진요 그리고 20700배터리는 어떤것이 괜찮은지도 송구스럽지만 여쭐 수 있을까요??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Planic먼저 20700의 경우...몰리셀(mollicel)을 리렙핑 한 버전의 벱셀(vapcell)의 배터리가 현재로서는 최선일겁니다.
20700 멕용 배터리 최대 스펙은 30A 3000mAh로 보시면 될 것 같네요. 은도금은, 접점부든 그외의 파츠든 모두 동일한 관리 방법을 쓰시면 됩니다. 단, 몸통의 겉면 은도금의 경우...솔직히 언젠가는 도금 싹 날릴 각오하셔야 합니다. 손의 유분 등으로 어떻게든 매~우 빠른 시간에 변색이 이뤄지니까요. 예전 도금 의뢰하시는 분들 중에서도 겉면 도금을 원하시는 분들이 있었는데, 일단은 원하시니 해드렸습니다만...항상 주의를 드렸던 것이 변색 문제입니다. 저도 테스트 삼아서 킨멕에 해봤지만 도무지 답이 없습니다. 유일한 방법은 도금 후에 투명 도색하는 것 뿐이네요. 보유하신 기기의 도금에 마지막 처리로 도색 등이 되어 있지 않다면 투명 도색, 세라코팅 등을 빨리 처리하시길 권장합니다. |
Planic님의 댓글

![]() |
@분별하는탐감사드립니다 혹시 그럼 은 도금을 싹 날릴 수 있는 방법은 따로 없을까요??이미 변색이 살짝 진행된 상태라서
투명도색 코팅을 해도 그저 그럴거 같아서요. .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Planic도금을 싹 날리실 생각이라면 그냥 피칼로 폴리싱 돌리면 됩니다.
만약 도금의 두께가 두껍다면...생각외로 말짱해진 상태 덕에 좀 더 오래 쓸 수 있겠네요ㅎ 그렇게 된다면 그 상태 그대로 밀봉해서 보관하다가 도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Planic님의 댓글

![]() |
@분별하는탐그냥 폴리싱을 하면 되겠군요 사용하다가 외관이 많이 안좋아지면 폴리싱으로 싹 날려야 겠네요 정말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추석 보내시길 간절히 바라겠습니다! 혹시 나중에 추가로 궁금한점이 생기면 여쭐 수 있을까요??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Planic언제든지 쪽지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
즐베&추 보내세요^^ |
Planic님의 댓글

![]() |
@분별하는탐넵 다시한번 정말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