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18650 배터리 선택 > 질문답변

사이트 내 전체검색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삼성 18650 배터리 선택

페이지 정보

딘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10-26 12:20 91읽음

본문

아이스틱 피코 플러스에 사용하려는데, 널리 알려진 삼성 제품으로
사려 합니다.

아래 3개 중에 어떤게 좋을까요.

 

1. 삼성 35E-3500-보호형-손전등 렌턴등 \5,850
2. 삼성-DIY용-25R-2500-전담기기 등 \7,350
3. 삼성-DIY용-30Q-3000-전담기기 등 \8,750


참고로 1.8오옴 코일 카토를 사용할거라, 고전력은 필요치 않고,
싸고, 고장없이 오래가면 좋겠습니다.
(유튜브에서 안전회로 제거방법 숙지함)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 3

딘스님의 댓글

딘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니코뽀옹고맙습니다.
30Q 3천이 \8,750 가격이 제일비싸 고민했는데, 파주마켓에서 \5,700에 팔더라구요
검색 더 해보니, 35E는 용접을 강하게해서 보호회로 제거가 쉽지 않다고 하네요.

딘스님의 댓글

딘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ChatGPT

***삼성 18650 35E 배터리를 1.8오옴 기기로 사용했을때 어떤 문제가 있을까(18650 30Q 대비)***
ChatGPT의 말:
23s 동안 생각함

문제 없음. 1.8Ω 기기에서는 35E가 안전하고 30Q와 비교해 단점이 거의 없다.

근거·계산

풀충전시 전압 4.2V → 전류 = 4.2/1.8 = 2.33 A. 정격(공칭 3.6V) 기준 약 2.0 A. (즉 2~2.3A).

35E 연속방전률(CDR) 약 8A. 30Q는 약 15A. (둘 다 2–3A 부하에 여유).
orbtronic.com
+1

35E vs 30Q — 실제 차이점 (간단)

용량: 35E ≈ 3500 mAh, 30Q ≈ 3000 mAh → 35E가 사용시간 더 길다.
orbtronic.com
+1

방전능력: 30Q가 고방전 특성(낮은 내부저항) 우수 → 고전류·펄스 부하에서 전압강하 적음. 1.8Ω에서는 의미 작음.
18650BatteryStore.com
+1

내부저항·펄스: 매우 강한 펄스(짧은 순간 고전류)를 자주 쓴다면 35E가 온도상승·전압강하에서 불리할 수 있음. 1.8Ω 정상 사용범위에서는 무시해도 됨.
orbtronic.com
+1

열·안전: 둘 다 보호회로 없는 셀(unprotected). 기기·팩 차단·충전관리 필수. 고온·손상 셀 사용 금지.
orbtronic.com
+1

실무 권장

단일 셀로 1.8Ω 일반 흡입(vaping)은 35E로 문제없음.

만약 순간적으로 8A 이상 펄스가 반복된다면 30Q가 더 안정적.

항상 신품·정품 셀 사용. 보호회로·충전기 정상 동작 확인.
orbtronic.com
+1

원하면 예상 사용시간(대략)과 전압-전류 표를 계산해 드리겠습니다. 계속 진행할까요?




***나의 말: 1.2옴 기기라도 별 문제 없을까?***
ChatGPT의 말:
21s 동안 생각함

문제없음. 1.2Ω에서도 35E로 실사용에 지장 없다.

근거·숫자

저항 1.2Ω에서 전류: 풀충전 4.2V → 4.2/1.2 = 3.5 A. 공칭 3.6V 기준 → 3.6/1.2 = 3.0 A.

삼성 35E CDR(연속방전) 약 8 A. 30Q는 약 15 A. → 둘 다 3~3.5A 부하에 여유 있음.

런타임(이론): 35E 3500 mAh ÷ 3.0 A ≈ 1.17 시간(약 70분). 30Q 3000 mAh ÷ 3.0 A = 1.0 시간.

실무 유의사항

순간 고전류 펄스(짧은 반복 펄스)가 많다면 30Q가 전압강하·발열 면에서 더 유리.

셀 상태(낡음·손상), 보관온도, 방열상태에 따라 발열과 수명 차이 발생.

기기가 기계식(무보호)라면 내부저항·단락 위험 고려. 보호회로·정상 충전기 권장.

안전마진 확보: CDR의 절반 이하(예: 4 A 미만)를 권장하면 더 안전.

결론: 규격 정상 사용(연속 3~3.5A)에서는 35E로 문제없음. 추가로 원하면 예상 전압-전류 표나 온도 상승 예상값 계산해서 보여주겠다.




***나의 말:0.2옴 기기로는 어떤가***
ChatGPT의 말:
24s 동안 생각함

안전하지 않다. 0.2Ω에서는 35E·30Q 모두 권장 불가.

계산 (자리수에 맞춰 정확히)

풀충전 전압 4.20V → 전류 = 4.20 ÷ 0.20 = 21.0 A.

공칭 전압 3.60V → 전류 = 3.60 ÷ 0.20 = 18.0 A.

셀 스펙(제조사 기준)

Samsung 35E CDR(연속) ≈ 8 A.
orbtronic.com
+1

Samsung 30Q CDR(연속) ≈ 15 A.
TI E2E
+1

비교·결론

요구 전류(18–21 A) >> 35E 허용치(8 A). 너무 높음.

요구 전류(18–21 A) > 30Q 허용치(15 A). 30Q도 연속 사용에는 마진 부족.

결과: 심한 전압강하·발열·수명급감·셀 손상·과열·가스·열폭주 위험. 특히 무보호(기계식) 기기에서는 대단히 위험함.

실무 권장(간단)

0.2Ω에서 제대로 쓰려면 고방전 셀(연속허용 ≥20A)을 사용하거나 병렬로 셀을 구성.

또는 저항을 올려 부하 전류를 낮출 것.

기계식 모드에서는 특히 보호·안전장치 없이 사용하지 마라.

원하면 30Q 기준 예측 발열·전압강하 수치와 대체 셀 후보(제조사별 CDR 표)를 바로 계산해 보여주겠다.




***나의 말:그러면 30Q 1알로 사용가능한 최저 오옴수는 몇 일까***
ChatGPT의 말:

안전 기준으로 약 0.25 Ω이 한계다.

근거 계산:

30Q 연속방전(CDR) = 15 A

풀충전 4.2 V 기준 전류 = 4.2 ÷ R

허용 전류 15 A 이하로 두려면
 R ≥ 4.2 ÷ 15 = 0.28 Ω
→ 안전 마진 감안 시 0.30 Ω 이상 권장.

추가 참고:

0.25 Ω 사용 시 전류 16.8 A → 극한 부하, 발열·수명 단축 가능.

0.20 Ω은 21 A → 과부하, 위험.

보호회로 없는 기계식이라면 최소 0.30 Ω 유지가 현실적 하한.

가변 모드(칩셋 보호 있음)에서는 순간 전류가 제어되므로 약간 낮게도 가능하나, 연속방전 한계는 변하지 않음.

요약:

기계식 기준: 0.30 Ω 이상
가변 모드 기준: 약 0.25 Ω까지 가능하지만 발열 주의




***나의 말:35E와 30Q 기준 예측 발열·전압강하 수치 비교표 부탁한다***
ChatGPT의 말:
24s 동안 생각함
13s 동안 생각함

아래 표에 계산값만 제시합니다. 가정: 충전전압 4.20V, 내부저항(초기값) 35E = 35 mΩ, 30Q = 26 mΩ(제조사·데이터시트 기준). 실제는 셀 상태·펄스·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orbtronic.com
+1

부하저항 (Ω) 전류 I (A) 35E 전압강하 Vᵢ (V) = I·Rint 35E 손실 P (W) = I²·Rint 30Q 전압강하 Vᵢ (V) 30Q 손실 P (W)
1.80 2.333 0.082 0.19 0.061 0.14
1.20 3.500 0.123 0.43 0.091 0.32
0.30 14.000 0.490 6.86 0.364 5.10
0.25 16.800 0.588 9.88 0.437 7.34
0.20 21.000 0.735 15.44 0.546 11.47

핵심 해석(요점)

전압강하: 35E가 30Q보다 내부저항이 커서 모든 부하에서 더 큰 전압강하를 보임.
orbtronic.com
+1

발열(손실): P=I²·Rint 이므로 고전류에서 35E의 발열이 훨씬 커진다. 0.3Ω대 이하에서는 손실이 수~십 와트 수준이 되어 셀 과열·수명저하 위험이 크다.

안전 마진: 35E CDR ≈ 8A, 30Q CDR ≈ 15A(제조사·판매표기 기준). 따라서 연속부하 기준으로 0.3Ω(≈14A) 이상은 35E에 매우 부담, 30Q도 한계 근접.
18650BatteryStore.com
+1

권장

기계식(single-cell) 사용 시 연속전류을 CDR의 절반 이하로 두라.

0.3Ω 미만에서는 병렬·고방전 셀 사용 또는 저항상승 필요.

셀은 정품·새제품 사용. 온도·발열 모니터링 필수.
lygte-info.dk
+1

원하면 동일 표에 공칭전압(3.6V) 기준 계산값과 셀 표면 예상 온도상승(간략 모델)까지 바로 추가 계산해 드립니다. 계속 진행할까요?




***나의 말:진행해라***

ChatGPT의 말:

표와 예상 표면 온도 상승을 보여줍니다.

요약 세 줄:

1.8Ω·1.2Ω는 두 셀 모두 문제없음. 발열 작음(수 와트 미만).

0.3Ω~0.25Ω에서는 35E가 발열과 전압강하에서 30Q보다 유의하게 불리함. 35E 표면온도상승 예측값이 40–125 K 범위로 위험 수준.

0.20Ω은 둘 다 연속 사용 불가 수준. 열폭주 위험.

참고: 표의 온도 상승은 간단 모델(Rth ≈ 8 K/W)으로 추정한 근사값입니다. 실제는 셀 상태·공기흐름·병렬구성·펄스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563건 1 페이지
인기글 이베이프 이용문의는

03-08 이베이프

댓글23
인기글 답변을 하기전에

06-10 이베이프

댓글33
인기글 질문을 하기전에

06-10 이베이프

댓글78
새글 현재 베놈엔트리레드팟 사용중인데 무슨액상살지 고민입니다

00:25 혼혈늑대

새글 0.3옴코일

10-26 아이작

댓글2
새글 기기 중고구매 후 as

10-26 영광인데용

댓글1
새글 폐홉 액상소진이 원래 빠른가요 ?

10-26 반페페호

댓글5
새글 삼성 18650 배터리 선택

10-26 딘스

댓글3
보통 매장에서 코일사면 얼마정도하나요??

10-26 아다리

댓글2
이지스3 배터리 보통 어떤거 사면되나요 ?

10-26 반페페호

댓글2
베놈 팬텀 마크2 사용중인데 팁교환가능한 팟

10-25 이젠끊어야해

댓글1
보로 폐홉 추천부탁드려요

10-25 hakjine

댓글2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복귀하려는데 기기 질문있습니다!

10-25 인생재밌다

댓글4
말론 기기 그렇게 별로인가요? ㅜㅜ

10-25 혜꽁

댓글3
진짜 오랜만에 폐호흡 해보고 싶은데

10-25 입문해보

댓글2
콜드스틸 vs 부푸 m100s (21700한발)

10-25 nne83

댓글2
이색상에 맞는 드립팁이있을가요?

10-25 진피즈

댓글2
코일이 안 빠져요 도와주세요

10-25 제발도와주세요

댓글1
모드기기 사용법 질문] 10년은 넘게 피웠지만1 도 모릅니다

10-24 도미닉리

댓글4
입호흡 기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24 테무친

댓글5
액상이 빨리 소모 되는 것 같은데 기기를 바꿔야 할까요?

10-24 통브

댓글2
녹? 인지 제거방법 아시는분 계실까요.

10-24 zombieS

액상관련입니다

10-24 한번팔아볼게요

코일일체형 코일분리형

10-24 시골감자

댓글1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