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린이에겐 빌드는 너무 어려워요 ㅠㅠ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회원아이콘

전린이에겐 빌드는 너무 어려워요 ㅠㅠ

페이지 정보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5-09 19:36 690읽음

본문

칸탈의 종류도 너무 많고..

특수와이어의 종류 또한...

거기에 게이지 , 다리길이 ,AWG , 비트 굴기


저는 정말 바보인가봐요 계산기를 봐도 이해가 안가요 ㅠㅠㅠㅠ

칸탈은 보통 26게이지 6바퀴 돌리면 원하는 옴수가 나오는데

퓨클들은 항상 0.5 ~ 0.6 옴을 목표로 빌드하는데 결과값은 대체로 0.7 ~0.9 옴이 나와유...

슬품... ㅜㅜ

추천 2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 41

aszxc님의 댓글

aszxc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저도 전린이라 빌드도 열심히 해보려고 하는데 퓨클 분명 처음에는 0.7옴 나오는데 점점 사용하면 3일정도 지나면 옴값이 0.6으로 떨어져요ㅠㅠ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aszxcㅋㅋㅋㅋㅋㅋㅋ 저도요..........
사용하는 기기의 80% 지분이 드나칩인데
진짜 드나칩 옴 널띄기 개 빡칩니다... ㅜ

aszxc님의 댓글

aszxc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메종마르지엘라드나칩 시리즈비 쓰는중인데 드나칩이 문제였던걸까요?ㅋㅋㅋㅋㅋㅋㅋ 잘은 몰라도 다른 칩 사용하는 기계를 다 방출하고 드나칩만 남겼는데..아쉽네요 다른거에도 사용해보고 싶은데 그것도 모르고 슬러지 때문인가 하프도 해보고 새로 리빌드도 했었는데,,ㅠ

주드님의 댓글

주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아이구ㅠ3ㅠ,, 천사메종님..!!
입홉빌드는 저도 아직 미숙해서,, 어려워죽겠더라구요-3- (뿌~~)
저도 칸탈에 비교하믄 비교적 두꺼운(?) => [반디벺 Ni80 입퓨클]만 써봤는데!!
폐홉ZN08말때보다 코일이 얇아서인지 자꾸 벌어져서 힘들고:0,, 안되겠다싶어 지그에다 고정시켜 손으로감아봐두 꼭 끝에하나가 벌어지더라니깐유^_/^(씨익)
맞아유... 진짜 격한공감x99999 ^, ^; (후후)
[에테르빌드 3mm내경 4바퀴],, 옴수는 0.5 후반대를 목표로하는데두, 저는 오히려 메종님이랑은 정반대로 0.5초반이나 0.4극후반도 나오더라구요? xDㅋㅋㅋㅋㅋㅋㅋ디저트나 연초는 확실히 빌드가 훨 맛나는데!!! 도대체가 제 망할손꾸락이 안따라줘서 문제라니깐유^—^v

특히나 입홉전린이인 저에겐 너무나 슬프고도 공감대가 형성되는(?) 메종님의 고난과 역경... 눈물 한방울 훔치고 가옵니다,,ㅠ0 ㅠ

p.s) 아옥!!! 어제부터 빌드한 녀석은 왜자꾸 탄맛이 올라오는거냐구욧!!! :D/ 마스터한줄알았드만 난데없이 속을 썩히네유^ㅁ^*(빠드득..)
천사메종님의 입홉빌드에 가르침을 얹어주실 부처예수스승님:3 오디계시옵니까~~~ \(ㅠ-ㅠ)/

못먹는감찌르기님의 댓글

못먹는감찌르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저도 그게 진짜 이상해요 분명 반디벺 입퓨클 0.6옴대를 목표로 5바퀴 감앗지만 0.7옴이 나오는 magic...
특수코일은 아마 감으면서 너무 당기면 옴이 올라가는거 같아요 그냥 스무스 하게 감아야 하는거 같아요

연과디님의 댓글

연과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저도 항상 특수코일은 원하는 옴수 안나와서
고민입니다.
코일 다리 길이나 여러가지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는데
이게 정답처럼 딱 정리된게 없으니..
그냥저냥 바퀴수 하나 늘리거나 줄이거나
할수밖에 없네요 ㅠ

thexder님의 댓글

thexder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저는 반디베이프 입퓨클 사용하는데
2.5에 5바퀴하면 거의 일정하게 0.66옴 언저리 나오더라구요.
다음에는 소봉와이어 괜찮다고 해서 반디베이프꺼 다 쓰면 한번 써볼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0.7옴대를 좋아하는데, 6바퀴를 감아야해서 코일폭(?)이 좀 넓어지더라구요.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주드제가 폐홉을 리빌드를 안하는 가장 큰 이유가 퓨클을 도저히 못 감겠어서 인데... 저랑 반대시네요
ㅋㅋㅋㅋ
물론 입홉코일도 매한가지지만유ㅠㅠ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못먹는감찌르기맞아여 맞아여! 저항값도 매번매번 다르고 반디베이크 입퓨클은 코일말기도 깔끔하게 안되서여ㅠㅠ
소봉코일이 그나마 감기가 쉽더라고요!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분별하는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오차가 나는 이유,
1. 당연히 계산과 실제는 다르다.
2. 제품(와이어)의 차이
3. 와이어를 말 때 소재 복원력에 의해 생기는 오차(1차로 한 단계 작은 직경의 가이드봉에 말은 후 원래 직경으로 조절하면 해결 가능)
4. 핫스팟 잡은 후 솜을 넣으면서 틀어짐
5. 코일 체결시 정렬에서 생기는 원본 코일의 바퀴 수 변화(ex : 5바퀴>4.8바퀴>4.5바퀴)
6. 빌드 후 사용하면서 변동되는(주로 떨어지는) 저항 : 내부 솜 수명이 다 되어가면서 저항 저하, 특히 에테르와 같이 액상 소모량이 많은 입홉 무화기에서 심함
 솜 중앙이 더 빨리 망가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중앙에 액상 유입이 되지 않고, 콜드옴과 같은 상태가 되어서 저항 강하가 이뤄집니다. 이 경우 솜을 새로 갈 수 밖에 없겠네요
 에테르와 같이 액상 유입이 많은 무화기는, 소모가 많아지고 솜에 충격이 많이 발생합니다. 거기다 하부 중앙에서 올라오는 공기로 인해서 중앙이 더 빨리 망가지고, 솜이 끊어지게 되지요. 그러면 바깥과 중앙에 차이가 생겨 균일한 발열이 이뤄지지 않아 핫스팟 잡기 전 상태와 유사해집니다.

당장 떠오르는 변수들은 이 정도네요.
메종님은 저항이 제법 올라가는 경우니 위의 예시에서 3번의 경우가 클 것으로 보이고,
댓글에서 aszxc님의 경우는 6번의 경우에 해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스피드왜건이었습니다~ㅎㅎ

주드님의 댓글

주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메종마르지엘라악!!! 이렇게 저의 정반대를 경험하셨으니 더 잘맞을수 있는것 아니겠숩니깟 천사메종님~? \(>0<;)/ 아낌없이 조언도 주고받을 수 있는,,(아름다운 마무리였ㄷr... ^. ^ 호호홓..)
솔직히 여유만있으시다면*ㅅ* 폐홉도 귀차니즘+맛표현까지 잡아주는 고급진 코일빌더 장인분들의 “수제코일”이 있사오니ㅠ3ㅠ,, 한번 느껴보시는것도 좋지않겠사와요~? :D/ 저두 첨에만 삘받아서 와장창 쟁여놨다가 요샌 가성비로 ZN08만 주구장창 쓰고있지만서요^_/^(씨익..)

ZN08 못말으시겠으면 저한테 다 보내놓으십샤^ㅅ^ 제 엄지와 검지를 한번 놀려보겠사옵니다 뿌하핳~!!! xD ㅋㅋㅋㅋㅋ(ZN08 5바퀴 국룰은 제 전문이지라요•_< 찡긋)

그나저나 입퓨클이... 도대체가 문제입니다 문제~~ㅠ3ㅠ,, 같이 마스터하구 행복베이핑을 이어나가야하는데 말임둥,,:0a
아무쪼록 저는 또 탄맛나가꼬 말을안들어서-.- 이녀석 해부3차 들어가야겠슴돠!!! ^ㅁ^* (부들부들,,)

그럼, 천사메종님께서두 부디 좋은꿈꾸시옵고:3
편히 주무시지와요(. _.)zZ 쿨쿨~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thexder반디베이프 입퓨클은 코일 감는게 너무 어려워서..
소봉코일은 상대적으로 코일 감는게 훨씬 쉬워요.. ㅎㅎ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주드코일마스터 지그를 새로 영입했습니다. ㅋㅋㅋ
코일마스터지그는 눌러줄수 있으니.. 아마 더 이쁘고 편하게 나오지 않을까요? ㅋㅋ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분별하는탐ㅗㅜㅑ... 정보력이...
그래서 에테르가 다른 무화기에 비해 빨리 탔나봅니다
6번 같은 경우면 대처방안이 오케 될까요??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분별하는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메종마르지엘라입홉 무화기 대부분이 밑에서 치고 올라오고, 그 공기 유입부의 구멍이 작기 때문에 어떤식으로든 주로 센터에 공기 유입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버서커의 경우는 리듀서의 크기가 다양하게 있어서 제일 큰 구경을 사용하고 외부 에어홀을 조절하는 방법을 씁니다만,
에테르의 경우는 리듀서를 제거하는 것이 그나마 낫고, 그 외에는 비싼 솜을 사용하거나 자주 하프를 해서 솜을 갈아주는 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아마, 입홉 무화기 설계에서는 이런 부분을 고려해서 흡압은 충분히 뻑뻑하면서 공기는 코일 전체에 충분히,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것이 앞으로의 개선점으로 보이네요.

주드님의 댓글

주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분별하는탐우와아,,, 역시 탐쌤ㅠ3ㅠ,,
안그래두 잘쓰고있다가..(3카토 째까지는 맛은 점점 연해져두 충분히 맛드러지게 먹었었는데;ㅅ;) 최근 2번 빌드에서 연속으로 몇번 안땡겼는데도 탄맛이 올라와서 너무 당황했었는데..ㅠㅠㅠㅠㅠ사막의 오아시스같은 현답을 귀한분께서 주셨습니다:D/ !!!

천사메종님 글에서 공교롭게도 오히려 제가 배우고 가네유\(>0<;)/ !!!
좋은정보 Chu~~쳔 파바박~!! 드리고 가오며,
리듀서를 빼고 해보거나 솜양조절을 다시 해보면서 에테르를 완전 제껄루다가 만들어봐야겠습니다,,:3a (머쓱타드,,)

그럼, 부디 좋은 꿈 꾸시면서 편히 주무시와요?(. _.)zZ (쿨쿨~)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분별하는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주드탄 맛은~솜양 조절 실패일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날씨가 풀려서 숯을 칠 필요가 적다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조절은 필요하죠. 특히 RTA에서는요.
일반적인 솜양은 코일에 솜을 넣고 당길때 코일의 흐트러짐 없는 정도로 할텐데, 그 기준이 사람마다 다르기에 어느 정도는 경험이 필요할 겁니다.
(저는 요즘 숯을 따로 치지 않고 처음부터 부피 조절 후 양 끝단을 삼각 모양으로 잘라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외로, 혹시나 저항 흐트러짐이 의심되신다면, 보통은 저항이 떨어지게 되니 솜 넣기 전의 저항과 그 후의 저항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런 변화라는 것은 측정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한 것이고, 그렇기에 측정(저항체크)의 생활화가 필요합니다^^

주드님의 댓글

주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추가적인 소중한 피드백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당 탐쌤요~~!! \(>ㅁ<)/
RDA에서는 솜양이 조금 많아도 딱히 불편함이 없이 충분히 커버가되던데,,:0/ RTA에서는 말씀해주셨다싶이 솜양조절이 조금만 과하거나 적어도, 바로 탄맛이 올라오거나 누수로 직결되는 결과가 나오더라구요ㅠ3ㅠ,, 확실히 솜양스킬을 익히는게 중요하다라는걸 다시금 새삼 느꼈답니다~? :D/ (얍!)

우오옷+ㅅ+!! 끝단에 삼각모양으로 자르는거!! 저두 처음엔 솜집어넣는 그 구멍이 너무빡빡한거 같아서,,:0a 한두번정도 해줬다가 최근들어서는 그냥 쑤셔넣는걸로 바꿨었는데, 다시금 액상유입도 원활하게 되도록 잘라줘봐야겠습니당:3

맞아유!!! -ㅁ- 저항이 대체적으로 좀 낮게잡히긴합니둥^_/^(씨익) 지금 옴체커용으로 드래그3를 쓰고있긴한데, 이 친구가 옴잡는게 좀 종특(?)인지 말썽인지라^. ^*(빠직) 아직 매장사정상 배송못받은 기기가 오면, 그땐 전후로다가 옴값측정도 잘 비교해서 해결책을 찾아가보겠나이다\(_ _)/ (넙죽넙죽)

p.s) 다시 한 번, 젠틀하게 신경써주심에 너무나 감사드리옵고\(><),, 그럼, 부디 좋은 꿈 꾸시면서 편히 주무시지와요(. _.)zZ (쿨쿨~)

민구님의 댓글

민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메종마르지엘라두분이 해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코일 텐션을 그나마 일정하게 마는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왼쪽이나 오른쪽 한쪽방향으로 모든 바퀴를 다 마는 방법이 보편적이지만

중앙에서 양쪽으로 반반씩 말아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6바퀘일경우)와이어에 중앙을 가이드봉에 대고
오른쪽이나 왼쪽에 3바퀴 바꿔잡고 나머지 3바퀴 이런식으로요.

지그를 이용한다 한더라도 무슨법칙에 의해서
바퀴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텐션이 떨어진다고 합니다.(과학어쩌구 복잡한 이야기라...)

안해본 방법이라면 한번쯤은 참고해보세요.

민구님의 댓글

민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주드또 한가지 방법은
코일을 덱에 체결할때 조금더 텐션을 주는 방법입니다.

처음 코일을 덱에 고정하기전에 덱과덱 사이 중앙에 위치시켜놓고 나사로 고정하는 방법이 보편적이지만
코일을 배치시킬때 중앙이 아닌 한쪽 덱에 바짝 붙여서 고정한뒤
가이드봉을 살짝 반대편 덱쪽으로 당기면서 고정해주고 나서 코일에 위치를 잡아주는 방법입니다.

특수코일이 아무래도 늘어나는?? 말로 하려니 그러네요.
하여튼 당기면 당겨지거든요.(니크롬와이어가 칸탈보다 무른특성)

해보시면 더 텐션이 강하게 체결된 코일을 보실수 있을거예요
(너무 많이 당기면 코일이 살짝 사선으로 틀어질수도 있습니다.
심하지만 않으면 큰영향은 없으니 그대로 위킹해주셔도 되구요)

안해본 방법이라면 한번쯤은 참고해보세요.

민구님의 댓글

민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주드핫스팟잡을때 코일이 오그라 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핫스팟이 다 잡혔다 생각들어도 솜체결전에 가이드봉으로 한 두번은 찔러주세요.

주드님의 댓글

주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민구우와앗 천사민구님\(>0<)/ ~~!!!
이리도 세심하게 고급정보를 알려주시다니요ㅠ3ㅠ,, 진짜 월욜아침부터 이렇게 뜨겁게 하시기 있으심까,,!? ㅠㅠㅠㅠㅠㅠㅠㅠㅠ
글솜씨엔 재주가 없으시다면서요!!! -3-(흥!) 이리도 부족함이 없이 완벽하게 소화해내시는데 너어~무 겸손하셨슴둥^_/^(씨익)

“텐션”주기!!!!+ㅁ+ 민구님께서 친히도 말씀해주신걸 생각해보니,,:0a
불현듯 제가 언제부턴가 반대로 하면서 실수하고 있다는걸 깨달았답니다:D/ ~?
한쪽나사쪽에 먼저 가깝게 고정시켜주고 반대편으로 땡겨오면서 텐션을 줘야하는데,, 전 왜 반대쪽나사에 가깝게 코일을 위치시켜놓고 다른 반대편을 고정시켰는지-0- 이러니... 내부로 들어오는 코일다리가 살짝 들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울수밖에요ㅠ. ㅠ!!! (이웅,, 이게 글이다보니 잘 전달해드렸어야했는데,, 저두 잠이 덜깼는지 횡설수설같기도하구:3 말 뽐새가 엉망이구만유xDㅋㅋㅋ흐하핳..)
p.s) 그럼, 우리 천사민구님께서 친히 알려주신대루\(>,<),,
어제 폐홉빌드하느라 못끝냈던 에테르친구 다시 마무리해주러 가겠사옵니다(>ㅅ<;)v 오늘도 월요팅하시지와요(. _.)/ (아도~)

주드님의 댓글

주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민구아앗!! 혹여나 한번 더 건드려서ㅠ3ㅠ,, 핫스팟이 틀어질까 겁나가지구 고냥 고상태 고대로 솜체결을 해줬었는데..!! 이 역시도 명심하겠나이다\(>,<)/ 젠틀하시게두 친히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당:3
이게 입퓨클은 핫스팟잡을시 저와트대(?)=>(7-10W)로 땡겨줘도 코일양쪽이나 한쪽부분만 금방금방 열이 올라와가지구ㅠ0ㅠ,, 그래서 유독 코일한쪽이 미리부터 너무달아올라 솜이 빨리 타버리는게 아닌가,,? 싶기도했답니당 ,,:0a

p.s) 아무쪼록 일러주신대루 잘 빌드해보구:D/
다시금 에테르의 그 첫사랑시절때로 돌아가보겠나이다:3
여윽시나 멋드러지신 우리 민구사마(^ㅁ^)v 훈남훈훈Chu~~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민구말씀하신 두번째 방법을 사용해서 코일말고 있긴한데.. 이마저도 100프로 이쁘게 감기진 않고, 말씀하신대로 코일이 틀어지긴 하더라고요 ㅜ
처음 말씀해주신 방법을 도전해봐야겠네요!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분별하는탐아무래도 건강에 직결되는 문제라 능력도 부족할뿐더러 불안하기도 해서 하프는 가능한 지양하고 있는데..
구조적인 문제이니 확실한 해결방법은 없는거네요 ㅠㅠ
안타깝습니다.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메종마르지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분별하는탐빌드의 능력차이는 아무래도 쌓인 경험치를 바탕으로 한 윅킹 능력과 코일을 이쁘게 마는 능력 딱 이 2가진거 같아요.. 전린이는 아직도 갈길이 머네요 ㅠ

민구님의 댓글

민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주드너무 한군데만 집중될때는
끌어주는것보다 가이드봉을 넣고 살짝 팅겨주는 느낌으로 흔들어주고 뺀다음
다시 파이어버튼 눌러보세요. 흔들지 않더라도 찔러주는것도 괜챃구요.

한쪽만 열받아서 그바퀴만 오그라들어 내경이 좁아지면 계속 그부분만 달아오르거든요.

민구님의 댓글

민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메종마르지엘라워낙에 이런저런 방법과 규칙이 있지만.
전 코일빌드도 개취라고 생각하거든요.
와이어, 내경, 재질, 이것저것 바꿔보면서
자신에 입에 맞는걸 찾으시면 된다고 봅니다.
가지고 놀기엔 리빌드만한게 없는거 같거든요.

전 요즘 1.4 드라이버나 1.5가이드봉에
32 칸탈와이어 10바퀴 마이크로코일로
5~7와트로 입호흡 먹고 있어요.
연타,장타, 제약이심하지만 지나치게 자극적인 요즘 액상엔 맛나네요.

"정해진 정답은 없다" 가 제 베이핑 신념? 개념? 그래요. ^^;

자유게시판 목록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