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쟁이(저)가 만든 코일(F.H.C)과 자작 스위블
본문
VG Vape의 시그니처? 코일인 F.H.C의 방식으로 만든 코일입니다.
물론 와이어 규격은 다르지만요ㅎ
Core : 26GA
28GA * 2(트위스트)
Outer : 38GA
사실은...이미 이런 코일을 예전에도 만들어 봤습니다.
그냥 T.F.C 혹은 F.T.C 라고만 스스로 명명해뒀던 코일이죠.
그 때는 랩핑용 와이어가 36GA 밖에 없었고, 36GA는 그다지 만족감을 주지 못했기에 방치...ㅋㅋ
(거기다 완~전 초보 때라 랩핑 간격 왕창 튀었습니다;;)
그럼에도 만든 것은,
리뷰 게시판에서 계속 올라오는 코일임과 동시에,
이번에 스위블을 일종의 제작? 기계류 부품들을 모아서 조립한 것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 입니다.
적합한 베어링을 찾기 위해서 이것저것 조합... 샘플 삼아 크기 별로 한 개 만들 분량만 구매했는데 기대 이상의 성능이네요^^
좌측의 최종본에 쓰인 부품들 규격...
로드 엔드 베어링 볼트형 M4
나비너트 M4
깊은 홈 볼 베어링 : 606ZZ(내경 6 외경 19 두께 6)
프렌지형 부시 : DUF 0404, DUF 0504
평와셔 : 4M 규격 2개
연마봉 지지대 : SK20
볼 베어링은 일제입니다.
국산, 중국산 등등이 있긴 한데 작은 규격이라 그다지 비싸지도 않기에 내구성에서 신뢰가 있는 일제를 썼죠.
남은건...드릴에 물릴 와이어 클립인데...이건 그냥 만들어진 것을 따로 구매해야겠습니다.
3D 프린팅으로 이것 저것 만들려고 하니 딱 보기에도 흔들림이 심하게 날 것 같고 비효율적인 지출이 될 것 같아 별로네요.
개인 공방이 있다면야 설계해서 바로 만들어버릴텐데...ㅠ
댓글 21건
journey82님의 댓글

|
아니 이벱엔 왜이렇게 금손들이 많죠?!?!
빌드도 겨우겨우 하는 똥손은 마냥 부럽네요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journey82이게 다~ 장비빨입니다ㅋㅋ
코일 마는 것, 빌드 등등도 사진에 나온 것과 같이 특수코일에 적합한 지그가 있으면 쉽게 할 수 있어요^^ |
journey82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장비있어도 못하는 사람 쌔고샜을겁니다 저처럼 ㅋㅋㅋㅋ
그냥 금손하시죠 :) |
슈소베이프님의 댓글

|
이런걸 시도하는것 자체가 금손이신거에요ㅎ
겸손하지 않으셔도 됩니다!!금손인정!! |
내가페페다님의 댓글

|
입흡도 좀 하시죠~~~^^ |
디셉트님의 댓글

|
헬릭스야 낚시도래로도 충분한
나름 간편한 녀석입죠 ㅋㅋ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journey82금손이고 싶어도 장비가 모자랍니다ㅋㅋ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슈소베이프금손은 완료님 정도가 되어야...여러모로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내가페페다입홉은 기존에 만들어 놓은 것들이 제법 많습니다~ㅋㅋ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디셉트ㅎㅎ 저도 이렇게 만드는 것은 스태거드나 에일리언 같은 것들을 좀 더 편하게 랩핑하려고 하는거죠.
헬릭스의 성가신 점은 트위스트의 피치 조절을 일정하게 대량 제작하기 어렵다...이 부분 외에는 난이도가 그다지...ㅋㅋ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우드기기 나눔 당첨된거 있어서 드바루 클론 구매해놨습니다.
이번달 폐홉 액상 레시피 완성하면 이걸 베이스로 입홉 액상 개발해야되니...이후는 입홉 위주로 이것저것 만들기 시작할 것 같네요^^ (BUT...우드기 수리해야 되서...부품 배송 대기 중...ㅠ) |
디셉트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음, 약간 주제넘긴 한것 같지만
F.H.C(Fused Helix Clapton)이라는 명칭은 사용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대략 5년전쯤 창안하신 분께서 짧지만 정식으로 출시한 이력이 있고, VG VAPE(구베이프그라운드)로서 제가 이어 변형 등등 이짓저짓 다하면서 출시한지도 4년이 다되갑니다..^^; 저야 이어받은 입장이라 상관없지만 원작자분이 엄연히 계시니 이름만이라도 지켜주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디셉트네. 그래서 제목에 F.H.C라고 기술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하려고 합니다.
본문에서 언급했던 명칭은 저가 기존의 코일에서 헬릭스를 몰랐고, 이것저것 특이한 것들을 만들면서 간략하게 붙였던 임시 명칭에 불과합니다. 애초에 그리 많이 만들어본 방식도 아니고요^^ 원작자에, 정식으로 통용되는 명칭이 있으면 그에 따르는게 맞죠ㅎㅎ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아, 혹시...VG VAPE가 따라했다...라는 뒤바뀐 주어로 이해하신 것이라면 정~말 오해입니다!
되려, 저가 따라해서 만들었다는 의미인데...혹시나 불편하셨거나 문제가 된다면 제목 바꾸도록 할게요;; |
디셉트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에이 그런뜻은 아닙니다.
그냥 임의로 붙이셨던 명명에서 제가 살짝 민감했었던것 같네요. ^^;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디셉트초반에는 주로 트위스트 방식을 응용해서 만들었고 일반적인 분류 외의 것들은 대~충 가제를 달았었습니다.
이것저것 건드리는 것들은 많은데 아직 전린이(1년차)라 모르는 것들이 많아요^^ |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
역시... 볼때마다 신기하고 존경스럽고 합니다.ㅎㅎㅎ
입홉코일을 기다립니다...ㅋㅋㅋㅋ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메종마르지엘라역시 입홉 유저가 더 많은지...계속 입홉코일 요청이 생기는군요;;
으음...대부분의 MTL은 코일빨을 거의 타지 않아요~ㅋㅋ |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똥손이라 폐홉은 듀얼빌드도 싱글빌드도 저에게는 난이도가 있더라고요 ㅠㅠ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메종마르지엘라??? 폐홉 RDA 보다 입홉 RTA가 더 난이도 높지 않나요?
RDA는 처음 만졌을 때도 대~충 뚝딱 빌드 가능했는데 RTA는 챔버 높이, 솜양 조절 등등 신경 쓸게 훨씬 많던데요...인식의 차이로 보입니다. 직관적으로 들어오는 덱 구조차이~ㅎㅎ |
메종마르지엘라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폐홉빌드는 코일 마는것부터 시작해서 다리길이 맞추고 꼽는것 자체가 저한테는 어렵더라고요 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