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벨리스크 60과 클라우드 플라스크S
본문
이번에 테스트 시작한 긱베이프 오벨리스크 60과 클라우드 플라스크S입니다.
오벨리스크 60은 긱베이프 P코일이 사용되는데 P코일은 이지스부스트 프로에서만 사용되던 코일로 이지스 부스트 프로 유저가 많지 않기 때문에 국내에 P코일 써보신븐들은 별로 없을겁니다.
긱베이프 계열에서는 오벨리스크가 굉장히 희한한 라인업입니다. 오벨리스크 120과 200이 있긴 한데 둘다 모드기이고, 오벨리스크 120에는 제우스 서브옴 탱크가, 오벨리스크 200에는 오벨리스크 탱크가 들어있으나 이 탱크는 Z코일(제우스 서브옴 코일)이 들어갑니다. 최근에 오벨리스크 C탱크가 나와있긴 한데 이건 S코일이라고 전혀 다른 코일 규격이 나와있습니다.
긱베이프 내에서도 좀 애매한 라인업인데 이번에 팟디바이스 기기인 오벨리스크 60이 출시되었습니다.
긱베이프 P코일은 0.2옴(60W~70W), 0.4옴(50W~60W), 0.5옴(40W~50W)의 3종이 있으며 0.2옴과 0.4옴은 폐호흡 전용, 0.5옴은 입호흡/폐호흡 둘다 가능합니다. 이지스부스트 프로에서 테스트를 해본적이 있었는데 0.5옴에 입호흡 액상 VG50 넣어도 딱히 누수가 생기지 않았고, 입호흡 액상을 넣어도 맛표현이 좋아 저는 입호흡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러나 긱베이프에서 분류상은 0.4옴, 0.5옴 둘다 폐호흡용 코일이니 오벨리스크 60은 폐호흡 전용 팟디바이스라고 분류하면 될것 같네요.
오벨리스크 라인업은 상당히 특이한 실험적인 라인입니다. 모두 5V/2A를 지원하고 오벨리스크 120FC는 기기자체가 보조배터리 역할도 하는 희한한 기기입니다.
오벨리스크 60은 다른 오벨리스크보다는 비교적 무난하게 나왔습니다. 와트가변과 바이패스를 지원하며 와트 가변은 5W~60W범위입니다.
오벨리스크 60과 비슷한 컨셉의 기기가 한대 더 있는데 이지스 히어로입니다. 둘다 0.4옴이 폐호흡용으로 쓴다는점과 카트리지 상단에 에어 컨트롤러가 붙어있다는점, 드립팁도 호환됩니다.
이 드립팁은 독자규격으로 입호흡과 폐호흡의 중간쯤 되는 크기입니다. 입호흡으로 쓰면 폐호흡처럼 맛과 향으 풍성하고 나오고, 폐호흡으로 쓰면 맛이 진하게 올라오는 독특한 드립팁으로 흡압이 좀 널럴한편이라 뻑뻑한 흡압을 좋아하는분에게는 잘 안맞습니다.
오벨리스크의 특징이라면 거대한 코일. 사진 좌측이 오벨리스크에 들어가는 P코일, 우측이 이지스 부스트 플러스, 이지스 히어로, 제우스 나노등에 들어가는 B코일입니다. B코일은 팟디바이스용으로는 상당히 큰 코일인데 이 B코일을 압도할만큼 크기가 큽니다. 제우스 서브옴을 많이 쓰실텐데 제우스 서브옴용 Z코일이 P코일보다 약간 작습니다.
코일 자체가 폐호흡 전용 무화기인 제우스 맥스용 코일보다 약간 작고 제우스 서브옴용 코일과 비슷하기 때문에 맛표현이 기존의 폐호흡이 가능한 입/폐 겸용 팟디바이스와는 다른 진짜 폐호흡 맛표현을 내줍니다.
반면 폐호흡 전용기기였던 클라우드 플라스크는 입/폐 겸용인 클라우드 플라스크S로 돌아왔습니다. 크기는 더 슬림해지고, 무게도 더 가벼워졌지만 배터리 용량은 200mAh더 증가한줄 알았는데 2200mAh는 오벨리스크 60의 배터리 용량입니다. 기기 두개를 동시에 쓰다보니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클라우드 플라스크S의 배터리 용량은 2000mAh입니다.
재질이 클라우드 플라스크는 스댕이었는데 클라우드 플라스크S는 알루미늄이라 경량화가 가능해진것 같습니다.
클라우드 플라스크의 시그니처였던 곡선형 디자인은 사라졌지만 전체적인 디자인은 더 깔끔하게 변경되었습니다. 슬림해졌기 때문에 그립감도 더 훌륭합니다. 충전도 5V/2A.
클라우드 플라스크와 클라우드 플라스크S는 많은 부분이 호환이 됩니다. 드립팁도 호환이 되며, 코일도 당연히 호환이 됩니다.
코일은 기존의 클라우드 플라스크용 0.25옴 코일은 물론 클라우드 플라스크S용 0.6옴 2종이 사용가능합니다. 코일 규격이 클라우드 플라스크와 동일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플라스크에도 0.6옴 코일이 들어갑니다.
사진 좌측부터 AVP PRO 0.65옴 코일, 하보크 0.6옴 코일, 하보크 0.25옴 코일, 크로마Z용 0.3옴 코일, 아스파이어 BP 0.3옴 코일, 오벨리스크 60에 들어가는 긱베이프 P 0.4옴 코일, 클러우드 플라스크용 0.25옴 코일입니다.
AVP PRO코일은 팟디바이스 입호흡용 코일중 꽤 큰 크기이며, 하보크 0.6옴 코일보다 코일과 솜 부분의 부피가 더 큽니다. 하보크 0.25옴 코일이 입호흡 맛표현이 나는 이유가 코일 크기 때문인데 입/폐겸용인 크로마Z 코일 보다 작습니다.
BP코일은 처음부터 폐호흡용 팟디바이스 코일로 개발된것이라 크기가 굉장히 큰편이지만 우측의 P코일과 클라우드 플라스크 코일에 비하면 작은편이죠.
오벨리스크 60과 클라우드 플라스크는 폐호흡 전용으로 개발된 제품이라 코일부터 다릅니다.
노틸러스 프라임X, 노틸러스 프라임, 이지스 히어로, 이지스 부스트 플러스, 하보크, 크로마Z는 입호흡이 메인에 폐호흡이 가능하다와 폐호흡도 된다라는 개념의 입/폐 겸용 팟디바이스이고 클라우드 플라스크S, 오벨리스크60은 폐호흡이 메인에 입호흡도 된다라는 개념의 폐/입 겸용 팟디바이스입니다.
점점 입/폐겸용 기기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는데
테스트 결과는 4주뒤..... 아니 빨리 테스트 해보고 올리겠습니다.
(리뷰 아닙니다. 예고편입니다)
댓글 34건
thexder님의 댓글

|
리뷰 기대하겠습니다. |
붸핑초보님의 댓글

|
역시 스케일이 남다르시군요
긍데 플라스크 와 S 밧데리 용량은 같지 않나요? 2000 으로^^;; |
Putin님의 댓글

|
@thexder지금 오벨리스크60과 클라우드 플라스크S에 같은 액상을 넣고 동시에 써보고 있습니다.
같은 액상인데도 맛표현이 다른데 맛과 향의 진함은 오벨리스크60쪽이 더 진한편입니다. 향도 섬세하게 올라와서 여러 향이 섞인 액상도 대부분 구분이 될 정도로 맛표현이 좋습니다. 클라우드 플라스크S는 단맛 부스팅이 있고 맛과 향이 대체로 진한편입니다. 클라우드 플라스크보다 조금 더 선명한 맛표현력인데 드립팁 내경이 클라우드 플라스크보다 넓어서 그런것 같네요. 클라우드 플라스크 드립팁을 끼우니 클라우드 플라스크와 맛표현이 비슷합니다. 다른 입/폐겸용 폐호흡 액상을 쓸때와는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이 둘은 진짜 폐호흡을 즐기라고 나온 팟디바이스입니다. |
Putin님의 댓글

|
@붸핑초보그러게요. 잘못썼네요. 오벨리스크60이 2200mAh고 클라우드 플라스크S가 2000mAh인데 두대를 동시에 테스트하니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ㅎㅎ. 본문은 수정해두었습니다. |
김하악님의 댓글

|
아! 그래서 결과는 어떨까아...하고 봤더니
4주후애 공개합니다아!! |
Putin님의 댓글

|
@김하악입호흡과 폐호흡 둘다 되는 기기라 맛테스트에서 시간이 좀 오래걸립니다 :) 폐호흡만 됐으면 2주면 누수테스트랑 맛테스트가 가능했을텐데 이건 둘다 되는 기기라...
둘다 크기는 작은편이라 매일 들고다니며 동시에 테스트해야겠어요 :) |
쥬비쥬비루님의 댓글

|
둘 다 관심있는 기기인데 리뷰 기대하겠습니다. 둘 중 어떤 기기를 들일까 고민 중이거든요.
빌드 부먹이 귀찮아서 요즘 폐홉 액상들이 썩고 있거든요;; 조금 덜 달고 적당히 향을 잘 올려주는 팟기기를 들이고 싶어서... 너무 욕심일까요? ㅋㅋㅋ |
Putin님의 댓글

|
@쥬비쥬비루클라우드 플라스크S는 단맛 부스팅이 있으면서 맛도 진하게 올라오고, 오벨리스크60은 단맛부스팅이 특별하게 있지는 않는것 같은데 맛과 향 자체가 진하게 올라와서 단맛이 있는 액상이면 단맛도 진하게 올라옵니다.
예를들어 단맛이 3, 맛과 향의 강도가 4인 액상을 기기에 넣었을때 클라우드 플라스크는 단맛을 6, 맛의 진함이 7, 향은 5정도로 전체적으로 진하게 뻥튀기 해주지만 맛 위주로 진하게 뻥튀기 해줍니다. 오벨리스크60은 단맛을 5, 맛의 진함은 6, 향의 강도는 7 이런식으로 향이 좀 더 진하게 올라오는편입니다. :) |
쥬비쥬비루님의 댓글

|
@Putin플라스크s는 플라스크와 비교했을때 단맛이 좀 빠진 편일까요? 플라스크는 너무 달아서 저는 못쓸 정도 였거든요;; 디자인은 플라르크s인데... 단맛때문에 고민이네요. |
Putin님의 댓글

|
@쥬비쥬비루플라스크S와 플라스크는 맛표현이 거의 비슷합니다. :) 단맛의 강도는 0.5정도 빠지고 선명함은 0.5정도 더 늘어난것 같긴한데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단맛 강도가 강합니다. |
쥬비쥬비루님의 댓글

|
@Putin슬픈 소식이네요 ㅠㅠ |
Putin님의 댓글

|
@쥬비쥬비루사진에 있는 여러 기기중에 단맛을 좀 눌러주는 기기는 크로마Z입니다 :) 적당히 단맛을 올리는 기기는 노틸러스 프라임X에 BP 0.3옴 조합이 좋습니다. 취향에는 노틸러스 프라임X가 잘맞을거 같아요 |
쥬비쥬비루님의 댓글

|
@Putin정보 감사합니다. 노틸러스 프라임X를 뒤적여봐야겠군요. |
쥬비쥬비루님의 댓글

|
@Putin푸틴님 리뷰 한 번 찾아보겠습니다. |
Putin님의 댓글

|
@쥬비쥬비루http://naver.me/FNmJqE7D 여기가 풀 리뷰입니다 :) |
쥬비쥬비루님의 댓글

|
@Putin엇 찾는 중이었는데 감사합니다. |
흑야차님의 댓글

|
휴대성때문에 폐홉은 플라스크 사용중인데 맛의 가벼움때문에
좀 더 풍부한 팟디를 기다리고 있는데 오벨리스크 괜찮아 보이네요 결과가 무척 궁금합니다^^ |
Putin님의 댓글

|
@흑야차폐호흡 탱크의 느낌은 오벨리스크가 더 탱크쪽 맛표현에 가깝습니다 :) |
내가페페다님의 댓글

|
플라스크S 궁금한 기기인데 첫인상은 어떠셨습니까~~~!!! |
흑야차님의 댓글

|
@Putin흐흐 어서 리뷰가 올라오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Putin님의 댓글

|
@내가페페다살좀 뺀 플라스크? 무게가 많이 가볍습니다 :) 커브형이 아닌 이런 형태의 플라스크도 꽤 많은데 그걸 모태로 디자인한것 같습니다. 가죽커버도 구형보다 훨씬 낫습니다 |
Putin님의 댓글

|
@흑야차아마 플라스크s 먼저 올릴것 같습니다 :) 이건 이미 익숙한 코일이라 코일 1종만 테스트 하면 되는데 오벨리스크는 써보긴 했지만 많이 쓴 코일은 아니라서 테스트 기간이 더 들어갈것 같아요 |
㈜화생방♨님의 댓글

|
플라스크 구매처좀 알려주세요~
추가적으로 기존 플라스크 팟에 플라스크s 입홉코일이들어가면 대박일듯합니다ㅋㅋ |
miaomi님의 댓글

|
요즘 폐팟디혹은 폐가 메인인 입/폐팟디가 많이 나오네요~ 여름이라 그런걸까요?(끝물이긴 하지만)
성능도 성능이지만 오래오래 코일 못구하는 일 없이 잘 쓸 수 있게 나와줬으면 하는 마음이 크네요. 리뷰 언제나 잘 보고 있습니다! |
Putin님의 댓글

|
@㈜화생방♨네 쪽지로 보내드렸습니다. :) 플라스크팟에 입호흡코일 들어가는건 확인했습니다. |
Putin님의 댓글

|
@miaomi두 브랜드 모두 통합코일형태라 코일 단종은 안될거에요 :) 아스파이어는 노틸코일을 아직도 생산중이고, 긱베이프는 코일 종류는 많지 않고 있는 코일을 여기저기 호환시키는 방식으로 신제품을 내기 때문에 코일 단종 걱정은 안해도 될것 같습니다. 두 브랜드 모두 코일 통합이 된 기기제조사입니다. |
miaomi님의 댓글

|
@Putin아스파이어는 알고 있었는데 긱베이프도 호환성이 괜찮나보네요~ 알아갑니다 찡긋 |
도구도구님의 댓글

|
맛 표현이 어떨지 제일 궁금하네요 ㅎㅎ
리뷰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Putin님의 댓글

|
@miaomi코일 호환은 긱베이프쪽이 더 잘 정리되어있습니다. :) 아스파이어는 노틸러스코일, AVP PRO코일, BP코일을 중심으로 코일 통합이 진행중이고 기기별로 독립적인 코일을 쓰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아스파이어는 코일 종류가 워낙 많았는데 근래에 코일 통합을 진행하면서 많이 줄이고 있습니다.
긱베이프는 처음부터 코일 통합을 해온 브랜드라 무화기부터 팟디바이스까지 코일 통합이 잘되어있습니다. 입호흡용 팟디바이스 코일은 G코일은 이지스팟, 위넥스 스타일러스, 위넥스 C1, G18에 사용되고, 입/폐 겸용으로 나오는 B코일은 이지스 부스트, 부스트 플러스, 이지스 히어로, 제우스 나노,, Z50등 이지스 시리즈에 가장 많이 쓰이는 코일입니다. Z코일은 제우스 서브옴, 오벨리스크 탱크등 무화기에 들어가는 코일입니다. G, B, Z 세종류 코일로 통합이 되어있고 여기에 최신 코일인 M(제우스 맥스용)코일과 P(부스트프로, 오벨리스크60)코일이 있습니다. 신규로 나온 오벨리스크 C 탱크에는 S코일이 들어가는데 크게보면 6종 코일로 통합이 되어있고 주로 쓰는 코일은 G, B, Z 3종입니다. :) 코일 호환성이 좋아서 긱베이프꺼는 기기 업그레이드하기 상당히 편합니다. |
Putin님의 댓글

|
@도구도구P코일이 제우스 서브옴과 이지스 부스트 플러스의 중간쯤 되는 성향이라 긱베이프 하면 생각나는 그런 맛표현에 가깝고, 플라스크S는 플라스크 맛표현과 비슷합니다 :)
단맛의 강도는 플라스크S, 맛과 향의 진함은 오벨리스크60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화생방♨님의 댓글

|
@Putin확인했습니다 구매처감사하고요 혹시 리뷰때 접점부사진찍어주시면 감사하겟숨다! |
Putin님의 댓글

|
@㈜화생방♨접점부라 하시면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일까요? :) |
㈜화생방♨님의 댓글

|
@Putin네 맞습니다 이전버젼에서 는 점3개로 표시되던금색부분이요 |
Putin님의 댓글

|
@㈜화생방♨네 그부분은 따로 사진을 찍어뒀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