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 같으면 어떤 선택을? (비전담)
본문
아는 후배녀석이 취업때문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나이는 30대 중반이고 아직 결혼은 안한 상태며 홀어머니를 모시고 삽니다.
변변찮은 기술도 없고 학력도 고졸이라 그저그런 자영업 직원이나 중소기업 생산직으로 쭉 일해왔었는데
이번에 다니던 회사가 문을 닫는바람에 실직을 하게 되어 여러군데 이력서를 넣고 기다리는데 그중 2군데에서 연락이 왔고
둘중 하나를 고민하고 있네요.
1. 흔한 중소공장의 생산직 - 주 6일제 근무, 오전 8시30분~오후 9시30분 (야근포함) 13시간 근무(점심시간 제외 12시간), 가끔 휴일 특근,
월급 240만 (세후 실수령액 210~220만) 상여금 없음 (추석,설날 떡값형식으로 30~50만원 정도 지급)
2. 사무직 - 주 5일제 근무, 오전 9시30분~오후 6시30분 (야근없음, 칼퇴근), 빨간날 다 쉼, 9시간 근무(점심시간 제외 8시간 근무),
월급 200만 (세후 실수령액 174만정도), 상여금 없음 (추석, 설날 떡값형식으로 30~50만 정도 지급)
2곳중에 한곳을 고민하고 있네요. 1번 직장은 반노가다 수준의 생산직으로 몸도 힘들고 개인 여가 시간도 적고 여지껏 생산직만 해서
마음은 2번 직장 사무직으로 기운듯 한데 1번 직장보다 월급이 너무 적다고 또 망설이네요.
2번직장이고 월급은 1번직장처럼 준다면 금상첨화겠지만 요즘같이 취업난에 어려울듯 하고요 ㅋ
하~ 저도 막상 후배한테 둘중에 한곳을 선택해 주기가 쉽지 않네요.
여러분들 같으면 1번직장과 2번직장중 어느곳을 선택하시겠습니까?
댓글 31건
신지민님의 댓글

|
저라면 2번이요! 장기적으로 보면 오래할 수 있는 일이 최고인거 같습니다 |
redwolf님의 댓글

|
2번요. 1번은 저러다 몸 상하면 끝일꺼 같은데요? |
도토리묵님의 댓글

|
@신지민그렇죠? 후배녀석도 2번으로 기운듯 하긴 한데 말성이네요.
솔직히 저라도 2번이긴 한데 ㅋ |
Eundan님의 댓글

|
저도 2번... 비슷한 나이대라 몸이 상하는 건
장기적으로 안 좋을 것 같네요. |
도토리묵님의 댓글

|
@redwolf현실은 처자식들 때문에 1번 직장같은 생산직으로 몸 상하는 직장인들이 많다는게...
2번 의견이 많을듯 하네요. |
도토리묵님의 댓글

|
@Eundan역시 장기적으로 볼때 1번같은 직장은 피하는게 상책인듯하네요. ㅎㅎ |
개얼굴님의 댓글

|
무조건 2번아닌가요?!! |
고기왕김고기님의 댓글

|
사람은 큰물에서 놀아야 자신의 그릇도 커진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습니다.
노동직을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당장의 이익보다는 멀리 내다보았을때 인맥, 공부등, 미래의 가능성을 포함하여 사무직이 훨씬 낫다고 생각됩니다. |
종미니빵님의 댓글

|
여지껏 1번같은데에서 일 했으니 2번에서 일 한번 해보는것도 좋을거같네요. 돈이 적다면 저녁때 대리운전 알바라도 하면 되니까요. 아는동생도 2~3일에 한번씩 알바뛰러 나가더군요. 술먹을돈 번다고요ㅎ |
도토리묵님의 댓글

|
@개얼굴돈때문에 무조건 1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요? |
주작호님의 댓글

|
2번이요! |
개얼굴님의 댓글

|
@도토리묵그러기엔 차이가 너무 적은거같아서요 ㅎㅎ;; |
도토리묵님의 댓글

|
@고기왕김고기그것도 좋은 방법인듯 하네요. ㅎㅎ |
차루님의 댓글

|
2번이요. 여가시간과 휴식이 없다면 자기 인생은 없는겁니다. 결혼하시면 맞벌이 하시면 되고 사무직도 다니다 보면 월급인상 되지 않을까요? |
도토리묵님의 댓글

|
@주작호역시 2번이 대세군요! |
도토리묵님의 댓글

|
@차루맞는 말씀이네요. 역시 2번 직장으로 선택하라고 해야겠군요. 이렇게 2번이 대세일꺼라고는 ㅎㅎ |
도토리묵님의 댓글

|
@고기왕김고기저도 생산직을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사무직이 좋을거라 생각되긴 하지만
본인이 급여의 차이를 무시 못한다는식으로 말을 하니 더 고민되더군요 ㅎㅎ (아...근데 고기왕김고기님 아이디가 이상한건지 자꾸 댓글이 엉뚱한곳으로 달리네요. ㅎㅎ) |
M0nk2y님의 댓글

|
하루4시간,
월 약 80시간(5일근무 4주시) 약3일이상을 덜 일하고 여가시간을 갖거나 근무 자체의 여건으로보아 40만원 더받음-시급 오천원 보다는 2번을 선택할거같습니다 |
nicname님의 댓글

|
저는 노동착취를 하는 생산라인에도 있어봤고 일반 회사의 사무직도 해봤지만 생산쪽에서 전문기술을 배우는거라면 도전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산라인에서 버텼던 이유는 금강기술을 배우기 위해서였는데 인원감축으로 짤렸습니다ㅠㅠ전문기술이 아닌 그냥 단순반복이라면 추천하지 않고 사무직에서 다른 전문 자격증을 공부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ㅠ 다만 사람을 잘 만나야 공부도 가능하더군요ㅠ 그래서 저는 때려치고 공부하려 합니다 ㅎㅎㅎ |
도토리묵님의 댓글

|
@M0nk2y그렇군요. 시급으로 따져도 2번의 여건이 더 좋네요.
역시 대세는 2번이군요 ㅎㅎ |
도토리묵님의 댓글

|
@nicname제가 후배한테 들은바로는 전문기술을 배우는게 아닌 단순 조립기술과 반노가다의 일이라고
하더군요. 월급이 조금 적어도 여유시간동안 공부를 더 할수 있는 2번 직장으로 추천해줘야 할듯 합니다. |
nicname님의 댓글

|
@도토리묵그렇다면 사무직으로 가서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게 나을듯 합니다. 기술없는 단순노동은 몸버리고 시간버리는걸 배웠습니다..ㅠㅠ |
투명드래곤님의 댓글

|
다들 2번 추천하시는데 당연히 2번이라 봅니다.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곳이라면 1번도 괜찮으나 아니라면 사무직으로 가야합니다. 이제 슬슬 몸관리 해야 할 나이죠. 그나이에 사무직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 |
멸균기님의 댓글

|
저는 집에서 가까운 쪽을 -_- |
도토리묵님의 댓글

|
@투명드래곤그렇군요. 일반 보편적인 생각이 다수일때는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게 맞다고 생각되어지는군요. |
도토리묵님의 댓글

|
@멸균기그러면 2번직장이군요. 2번이 훨씬 가깝다고 합니다. ㅎㅎ |
갤럭시가님의 댓글

|
2번이요..
40만원 포기하고 여가생활하는게 더 낫습니다.. |
멸균기님의 댓글

|
|
NonSmoker님의 댓글

|
저라면 회사 비전에 따라 1 또는 2번일 수도 있겠네요
비전이 좋다면 1번 아니라면 2번 후 야간 학교나 자격증 등 자기 개발 해야죠 |
카론의새벽님의 댓글

|
남들이 아니다할때 예하고 싶지만 예할 여건이 아닌듯 보입니다^^ |
효발이님의 댓글

|
2번이요!!! 여가생활과 더불어 자기개발할 시간 까지 주어지고 1번과 2번 금액차이가 메리트가 없어 보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