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답 시려워서 개념이나 정리하고 갑시다
본문
경우1)
A를 누가 최초로 개발했다.
"개"라는 양심없는 회사가 A를 가져다 뜯어 보고 치수 재고 최대한 똑같이 만들어서 A-1이라는 이름으로 팔았다.
그리고 A에 아무런 양해도 구하지 않았고 로열티도 지불하지 않았다.
그럼 A-1은 클론입니다. 말 그대로 복제품. 불법.
경우2)
똥똥공장이라는 데서 A를 생산한다 칩시다.
"곰코퍼레이션"은 똥똥공장의 A를 가져다가 "곰-A"라고 팔고 싶어서 계약을 맺었습니다.
"개코퍼레이션"도 똥똥공장의 A를 가져다 팔고 싶어 지하로 물건을 확보한 뒤 일단 "개-A"라고 팔았습니다.
나중에 곰코퍼레이션은 개코퍼레이션이 정식 계약도 맺지 않고 같은 물건을 받아다 싸게 파는 걸 알아냅니다.
그래서 곰코퍼와 개코퍼는 법정분쟁중입니다.
이미 리셀러들은 "곰-A"나 "개-A"를 사서 재판매했고, 소비자들 중 몇은 "개-A"를 골랐습니다.
그러다 곰코퍼가 승리하고 "곰-A"만 정품이다 판정합니다.
여기서 자세히 들어가면 훨씬 복잡해지겠지만 우리는 어디까지나 소비자죠. 그 범주에서만 봅시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그럼 "개-A"는 무엇일까요?
그것이 무엇이든 절대 "클론"은 아닙니다. 클론은 경우1에나 해당하는 것이니까요.
그냥 정품은 아닌 A, "곰-A"와 제품 사양이 완벽하게 같고 복제한 것이 아닌 같이 생산된, 정품 딱지만 못 받은 무언가입니다.
심지어 가격도 "곰-A"보다 싼.
경우1에서는 정품/클론 이분법이 성립하지만
경우2에서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댓글 12건
일향님의 댓글

|
정확한 설명, 완벽히 이해갑니다. 고맙습니다. |
쉬리님의 댓글

|
조금 잘못된 설명같습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경우2) 에서는 처음부터 공장에서 생산된 물건을 각각 다른 판매처가 떼어다 판매하는 것처럼 묘사되는데, 미니킨의 경우 아직 OEM인지 ODM인지 확실하지도 않고 그 전에 오더 자체는 아스모더스에서 준 것 아닌가요..? |
꼼탱이님의 댓글

|
|
kisez님의 댓글

|
용트림 사장님 글을보니 아스모더스사에서 정확한 설계도나 회로도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부분이 보이는데..
어느것도 완벽한 정품이 아니라는 것에서 문제가 생기지 않았나 싶습니다.ㅠㅠ |
쉬리님의 댓글

|
@쉬리글 수정하셨네요.. 경우2)에 전제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
똥똥공장에서 A를 생산한게 먼저가 아니라 곰코퍼레이션이 먼저 똥똥공장에게 A를 만들어달라고 의뢰한것이지요... 그것이 디자인 및 내부 설계를 제공하고 의뢰한 OEM이건, 디자인만 제공하고 내부설계는 자체개발을 맞긴 ODM이건 간에요.. |
브라키오님의 댓글

|
@쉬리경우2라고 쓰고 이번 경우라고 쓰지 않은 이유죠.
경우2에 이번 미니킨 사태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습니다. 다만 자꾸 클라우드팩토리에서 클론이라고 하니까. 클론은 아니란 걸 확실히 하는데는 부족함이 없을 겁니다. 아스모더스에 의한 오더로 시작된 생산이라해도 어디에서도 "복제"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오직 아스모더스에만 납품해야 할 것을 공장이 빼돌려 다른 업체에 준 것일 뿐, "클론"은 아닙니다. |
브라키오님의 댓글

|
"복제한 것이 아닌 같이 생산된" 추가한 것밖에 없는디요; 게다가 그건 쓰자마자 바로 수정한 거라 일향님 리플 달리기도 전인데... |
다스베이퍼님의 댓글

|
평소 눈팅만 하던 눈팅족입니다만 이번 경우를 보면서 생각난게, 좀 다른케이스긴 합니다만 얼마전에 이슈가 됐던 의류 텍갈이가 생각나네요
같은 원단 같은 원사 같은 공정으로 만들었으나 브랜드 텍 붙으면 10~20만원 동대문 텍 붙으면 2~5만원이었죠 대형 브랜드의 눈탱이사건이기도 하며 브랜드가 가지는 가격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도 생각합니다 |
쉬리님의 댓글

|
@브라키오경우 2부분이 좀 수정된 줄 알았는데 아니었나요;;
다시 읽다보니 혼동이 있었나보네요..;; 죄송합니다....댓글이 달려 수정이 불가능하네요.. |
쉬리님의 댓글

|
@브라키오글을 읽는 분들이 경우 2를 이번 일과 같은 일로 받아들일수 있는 여지가 있을것 같아 다른분들이 혼동하지 않게 댓글 달았었습니다.
제 말은 클론이 맞다는게 아니라 사실관계를 재확인 하는 것이고... 클론이라는 말에 대해선 저도 아니라고봅니다. 정식발매판이 아니라 비공식 유통경로를 통한 해적판..정도가 적당하지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
브라키오님의 댓글

|
@쉬리맞네요. 저도 본문에 같은 케이스는 아니라고 하지만 결론은 같다고 표시했어야 했네요. |
쉬리님의 댓글

|
@브라키오의견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