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니스 현자..
본문
독일에서 만든 aulus라는 칩셋이 있습니다.
50w이지만 배터리의 성능을 최대한 끌여줘서
듣기와 조사한 바로는 부스터 모드를 사용시 200w까지의 성능이 나와준다고 하네요.(어디까지나 50와트지만 200까지 올라가진 않습니다. 체감상 200w까지의 힘이 나온다고 해요.)
하지만 칩셋을 만드는 독일공장이 개인판매는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클론제조 방지)
칩셋을 구한다면 제니스에 이식하겠지만
이러다 제니스 넘기고 콜리브리로 갈아 탈 기세네요.. aulus칩을 사용하는 모드가 유일하게 콜리브리라고..
좋아하는 민트색이 적절하게 섞인기기를 봐버리면 제니스 바로넘겨버릴지도 모르겠네요.. @_@
50w이지만 배터리의 성능을 최대한 끌여줘서
듣기와 조사한 바로는 부스터 모드를 사용시 200w까지의 성능이 나와준다고 하네요.(어디까지나 50와트지만 200까지 올라가진 않습니다. 체감상 200w까지의 힘이 나온다고 해요.)
하지만 칩셋을 만드는 독일공장이 개인판매는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클론제조 방지)
칩셋을 구한다면 제니스에 이식하겠지만
이러다 제니스 넘기고 콜리브리로 갈아 탈 기세네요.. aulus칩을 사용하는 모드가 유일하게 콜리브리라고..
좋아하는 민트색이 적절하게 섞인기기를 봐버리면 제니스 바로넘겨버릴지도 모르겠네요.. @_@
추천 0
댓글 42건
앵폭님의 댓글

|
![]() |
ReVel님의 댓글

|
![]() |
앵폭님의 댓글

|
![]() |
하루3갑님의 댓글

|
가격도 후덜덜 하던데요?? |
개얼굴님의 댓글

|
200와트까지 체감이라니.. |
ReVel님의 댓글

|
![]() |
ReVel님의 댓글

|
|
뚜으님의 댓글

|
|
앵폭님의 댓글

|
![]() |
ReVel님의 댓글

|
|
앵폭님의 댓글

|
저는 다이코드 칩 써용 ㅎㅎ 얘도 대만족이에요 전 |
하루3갑님의 댓글

|
|
ReVel님의 댓글

|
@뚜으저도 써볼까 말까한 칩입니다.. |
ReVel님의 댓글

|
|
ReVel님의 댓글

|
@앵폭다이코드는 어떤가요? |
앵폭님의 댓글

|
@ReVel아울로스가 조금 이쁜방식이에요 50와트인게 조금 아쉬운 부분이긴하지만 그래픽 방식에 배터리 효율도 좋죠 다만 사용기가 많이 적고 200w 까지라는말은 잘 모르겠어요 배터리는 직렬 불가능에 버튼도 따로실장해야 3버튼이나 유에스비도 따로실장해야하죠 다이코드는 오실로스코프 자료도 있고 엄청 깔끔해요 |
앵폭님의 댓글

|
@앵폭대신 다이코드는 칩셋 설정방식이 조금 까다로워요 첫타 부스트나 배터리는 설정 볼트값까지 무조건 사용해주는 방식이라 좋아요 아울로스도 굉장히 이뻐서 한대 저도 마련할까생각중인 칩셋이에요 전 디엔에이랑 이히칩은 이제 전혀 안써버릇해서 ㅠ |
ReVel님의 댓글

|
@앵폭아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200w는 채감파워가 200까지도 올려주는 기분이라고 말씀들 하셔서 표현해본겁니다 ㅎㅎ |
ReVel님의 댓글

|
|
하루3갑님의 댓글

|
@ReVel하이엔드 인데 그래요???
전 아써봐서??? 저두 칩의 중요성은 요즘 절실히 느껴요 |
ReVel님의 댓글

|
@하루3갑sxj칩의 특징입니다. 파워가 좋긴하지만 배터리 효율이 너무떨어지는게 단점이지요..ㅠㅠ |
기환님의 댓글

|
뭔가 좀 잘못알고 계신거같아서 글을 씁니다.
sxj칩은 효율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제가 제니스가 18기기인지 26기기인지 모르겠으나.. 배터리가 안좋을 경우 그렇습니다. 모든 기기가 똑같이 배터리가 안좋으면 그런 증상이 있지만 이히의 칩만 그걸 실시간으로 전압강하의 폭을 보여줄 뿐이죠. DNA같은 애들은 그런걸 표현하지않고 그냥 아무 문제없는 척 하는거구요. 또한 이건 접지와 관계도 있습니다. 제가 제니스를 사용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SXJV2칩을 사용하는 에스토크나 헬파 팬텀, 국내모더중 하나인 베이프몬스터의 Taurus 세 기종 모두 문제가 없습니다. 그에 반해 타 국내모더의 어떤 모드는 말씀하신 증상이 있구요. 결국 칩의 문제라고 보긴 힘듭니다. |
ReVel님의 댓글

|
@기환아하 26인데 이상하게 전압강하도 심하고 몇번 물지도 않았는데 어느센가 4.2v에서 3.7v로 뚝 떨어져 있더군요
sxj는 다 이런건가 하고 착각하고 있긴 했습니다. 아날로그 만 써보고 가변을 처음써봐서 sxj가 좋다고 들었는데 월래ㅇ이런가.. 하고 실망했었거든요..ㅠㅠ 하신 말씀 들어보니 아무래도 배터리가 문제인건지 내부 통전이 문제인건지 2개중 하나 같다는 생각이 들긴하네요.. |
기환님의 댓글

|
@기환26 배터리 뭐쓰시나요. |
티랑님의 댓글

![]() |
배터리 때문입니다.ㅎ 26 성능좋은것 사용해보세요. |
ReVel님의 댓글

|
@기환주황색 imr이라 적혀있네요. |
ReVel님의 댓글

|
@티랑추천해주실만한게 있을까요? |
겨리아부지님의 댓글

|
@ReVel빡센 26650......껌정
imr 주황색과 aw 빨갱이는 레블님과 동일현상 발생~~~ 세종류의 26batt가 있는데 빡센꺼 쓰니 멀쩡하군요..^^ 나머지는 26batt전문가이신 꼼님께서~~~~~^^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그 콜리브리 모드 링크 좀 알 수 있을까요?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http://picolibri.fr/fr/#
으엌 찾아봤습니다... 진짜 이쁘네요.... 이걸 제 인생 마지막 가변으로 정해야겠습니다... 100만원이네요... 으하하하... |
개탱이님의 댓글

|
주황26650베터리는 조루...!
그냥 나무그만파시고 스뎅으로오시죠..? 돞 재고있네요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ReVelMNKE 제품 같은데...
26650 중에 좋은 제품 구하기가 좀 힘들긴해요. 저도 그 제품 사용하는데 그나마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 중 성능이 가장나은 편이죠. 삼성이나 엘지 소니에서 셀을 만들기는 할텐데 그런 걸 어디서 구할 수 있을런지 모르겠습니다. 결국 리랩핑되서 나온느 브랜드 제품을 구매하는 이상 실측 데이터나 사용자 데이터에 의존해서 구하는 수 밖에 없지요.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ReVel26650 배터리 실측 데이터를 보시면 전압이 일반 18650 보다 금방 떨어집니다.
용량이 많다고 해도 결코 효율적이지 않죠. 그래서 좋은 배터리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입니다. |
기환님의 댓글

|
@ReVel이페스트 보라돌이 신형도 괜찮고요.
G power도 괜찮습니다 4200짜리 구하시는건 알아서.. 재주껏.. 그게 문제지만... 아 26은 배터리사기가 빡세요.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기환26650 배터리 실측 데이터를 보시면 전압이 일반 18650 보다 금방 떨어집니다.
용량이 많다고 해도 결코 효율적이지 않죠. 그래서 좋은 배터리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입니다.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기환26650 일반 소비자는 리랩핑 브랜드 제품 구하는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실측 데이터에 의존해야하고... 이마저도 개체차가 있는지라 빡셉니다. 그리고 26650 이 대부분 18650 보다 전압이 약하고 금방 떨어집니다. 말씀하신 3.7에서 대부분 조금만 써도 금방 전압이 약해지죠. 더 빡센 전압으로 밀어줄 수 있는 녀석은 정말 한정적입니다. |
ReVel님의 댓글

|
@나태한목소리쩝 여러모로 불편하군요.. ㅡㅅㅡ |
ReVel님의 댓글

|
|
개탱이님의 댓글

|
@ReVel나무는 아직 만족할만한게없어 패스...!! |
지호파파님의 댓글

|
@ReVel방전률뻥이거나 용량은 큰데 방전률 낮은거 쓰니까 그런경우생기던데요 |
ReVel님의 댓글

|
@지호파파솔직히 지금 사용하는 배터리 스팩조차 모르겠습니다..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ReVel제가 그놈의 배터리 때문에 26650 안씁니다...
좋은 26650 구하느니 그냥 안 쓰고 말죠... 대부분의 경우 차라리 18650 1발짜리가 오히려 효율이 더 좋습니다. 26650은 그냥 대체 왜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모든 26650은 일반소비자는 리래핑 배터리를 써야하는 운명인지라... |